![]() |
교정공무원 사칭 사기행각에 이용된 명함 |
![]() |
교정공무원 사칭 사기행각에 이용된 명함 |
전국적으로 교정공무원을 사칭한 사기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서산시에서도 소상공인들이 2천만 원에 달하는 금전적 피해를 입는 사건이 발생해 지역 사회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특히나 계속되는 경기침체 등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더욱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소상공인들은 이번 사건으로 인해 깊은 시름에 잠겼으며, 법적 절차 미흡 등을 이유로 소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경찰에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산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A씨는 최근 홍성교도소 공무원을 사칭하는 인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사칭범은 긴급하게 구매할 물건이 있다며 A씨에게 명함을 문자로 전송했고, 다음 날 있을 긴급 검열에 대비해 안전화와 방검복이 필요하다며 구매 가능 여부와 견적을 문의했다.
이어 교도소 공무원 사칭범은 방검복이 특수한 품목이라며 특정 업체를 소개했고, 해당 업체의 명함까지 함께 보내 A씨를 감쪽같이 속였다.
A씨는 해당 업체로부터 사업자등록증을 받고 물건을 주문한 후, 긴급 배송을 위해 용차를 이용해 2천만 원을 송금했다.
그러나 잠시 후, 용차 기사로부터 출발했다는 전화를 받은 지 한 시간 만에, 업체 측 여직원이라는 사람으로부터 교정공무원이 물건을 취소했다는 연락을 받았고, 배송 기사 또한 반송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연락을 받았다.
A씨는 그제서야 사기임을 직감하고 112에 신고했지만, 이미 때는 늦은 상황이었다. A씨는 즉시 서산경찰서에 연락했지만, 경찰은 현재로서는 어쩔 수 없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는 것이다.
이후 A씨는 사업자등록증상의 업체가 방검복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업체라는 사실을 알았고, 교정공무원, 업체 여직원, 배송 기사라고 사칭했던 세 사람 모두 같은 사기범들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서산경찰서는 현재 전국적으로 이와 유사 사건이 발생하고 있어 수사를 진행 중이지만, 사건 해결에 난항을 겪고 있으며, 피해액 2천만 원을 돌려받을 확률은 낮다고 전했다.
피해자는 "전국적으로 피해 사건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면 적극적으로 어떤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지 않았을까?"라며 경찰의 대처에 아쉬움을 토로했다.
경찰서 관계자는 "보이스 피싱이 아닌 경우 계좌를 막을 수 있는 법적 절차가 없다"며, "판매업체와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기 사건으로 단정할 수도 없다"며 "법적인 절차에 따라 최선을 다해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