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왼쪽부터),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서약문에 서명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후보 3명 모두 큰 틀에서 대통령실 완전 이전에 동의하고는 있지만 이재명 전 대표는 사회적 합의를 우선하며 속도 조절 하는 반면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신속한 이전을 주장, 대조를 보이고 있다.
대세론을 형성한 이 후보는 다소 원론적 수준에서 실현 가능한 사업부터 챙기겠다는 입장인 반면 추격자 입장인 김동연, 김경수 후보는 보다 공격적으로 충청 민심에 호소하는 것이다.
19일 6·3 대선 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첫 관문이자 최대 승부처인 충청 순회 경선을 앞두고 후보 3명은 각각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을 공식화하면서 충청 표심 잡기에 나섰다.
먼저 이 전 대표는 17일 페이스북에서 충청 공약을 내놓으면서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고,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겠다"라며 "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도 사회적 협의를 거쳐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집권 때 당장 6월 4일부터 사용할 집무실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이날 대전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ADD)에서 열린 간담회 후 취재진과의 대화에서 이 전 대표는 "대통령 집무실 문제는 국민들께서 많은 관심을 두고 계시지만,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청와대를 수리하는 문제 또, 세종 청사를 새로 만드는 문제 등 여러 문제가 있는 게 지금 당장 최종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집무실 이전을 위해 개헌이 동반돼야 하는 만큼 이 후보는 당장의 결단 보다는 청와대를 사용하다가 세종으로 옮겨가지 않겠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강훈식 캠프 총괄본부장은 기자들을 만나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야 하는 사안으로, 더 자세한 입장은 이 후보가 토론회 등에서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와 강 본부장이 말하는 사회적 합의는 개헌 또는 신행정수도특별법 추진 등을 가리키는 것으로 풀이된다. 모두 대선 이후 여야 합의가 필수인 사안이다.
국정 최고책임자의 강력한 의지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다른 국정 현안에 우선순위가 밀려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순 없다.
반면, 김경수, 김동연 두 후보는 이 대표보다 속도전을 주장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당선 다음날부터 세종에서 근무하겠다"고 세종 대통령실 구상을 발표했다.
김 지사는 "이미 대통령 제2 집무실과 국무회의실이 있다"라며 "대통령 수석실 폐지 등 대통령실 규모를 축소해 즉시세종에서 근무하겠다는 구상이다"고 설명했다.
김경수 전 지사는 서울 광화문 청사와 세종 총리 집무실을 이원으로 사용하며 세종 대통령실 완전 이전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청와대는 방공망, 벙커 등 경호 시스템이 집중돼 있다. 일부 철거되면서 재설치 부담이 있지만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이전할 수 있다"라며 "세종은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확대하거나 총리 집무실을 임시 집무실로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