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산시 시내 전경 |
서산시의 인구 증가 정책이 구조적 근본적 문제 해결 없이 수치 중심의 행정에 그치고 있어 '탈(脫) 서산' 현상이 가속화가 우려되고 있다.
서산시가 생활과 직결되는 교통 인프라 확충 및 물가 안정, 주거 여건 개선 등 실질적인 생활 환경 개선 없이 단기적 성과에만 집착한 결과, 인구 감소 현상이 갈수록 가속화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나오고 있다.
현재 서산시의 주민등록인구 수가 18만 명이 무너지면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어 올해 3월 기준 인근 당진시의 인구 차이가 1412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별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전체적인 인구 변화 폭은 크지 않지만, 매달 수백 명 단위의 유출이 지속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2024년 6월 17만 3100명 대였던 인구는 올해, 3월 17만 3522명으로 소폭 증가한 수치지만, 이는 특정 시점의 등락일 뿐, 장기적인 흐름에서는 정체 또는 감소 추세로 풀이되고 있다.
이 같은 인구 감소는 대산석유화학단지 근로자들의 대규모 이주와도 맞물려 있다. 공단에서 근무하는 많은 근로자들이 교통 체증과 불편한 통근 환경을 피해 당진으로 이주하고 있다.
2023년부터 올해 2월 사이 서산에서 당진으로 유입된 인구가 1551명에 이르며, 4월까지 포함하면 실제 이주 인구는 2000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산시는 한때 인구 증가 정책의 모범사례로 주목받았다. 2021년 전국적으로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확산 되던 시기에도 인구 18만 명을 돌파했고, 산업 유치, 가족 정책, 관광 인프라 확충 등을 인구 증가의 원인으로 내세웠다. 2019년 이후 월평균 70명 이상 인구가 증가하며 상승세를 타기도 했다.
그러나 교통 체증 해소 대책 부족에다가 타 지역보다 훨씬 높은 고 물가상태 지속, 생활 정주 여건 부족 등 근본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서 이 같은 성과는 오래가지 못했다.
특히 대산공단을 중심으로 한 주변의 구조적 인프라 부족이 '탈 서산' 흐름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근본 문제를 뒤로하고 단기 성과에만 집중한 결과가 인구 정체와 감소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인구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고 도로망 확충, 주거 안정, 생활 인프라 강화 등 실질적인 생활 여건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인근 당진시는 최근 2년간 전국에서 총 3만 2,674명의 순 유입 인구를 기록하며, 충남 내 대표적인 인구 증가 도시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