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주시의회 박해수(사진) 의원은 17일 제293회 시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 자유발언을 통해 문화동에 자생적으로 형성된 '구제 거리'의 특화 거리 지정 및 육성을 공식 제안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충주 문화동은 과거 시청과 시외버스터미널 등 주요 기관이 밀집해 활기가 넘치던 곳이었으나, 이들 시설의 이전으로 1980년대 1만 7000여 명에 달하던 인구가 현재 1만 명 이하로 감소하며 도심 공동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제상점들이 문화동 일대에 들어서며 새로운 상권을 형성했다.
박 의원은 서울 종로의 '동묘 구제시장'에 비유하며, 충주에도 마니아들 사이에서 '충묘'라 불리는 문화동 '구제 거리'가 있다고 소개했다.
이 구제 거리는 옛 충주의료원 자리인 건강복지타운 앞 골목들에서 시작해 대수정교와 현대교 부근까지 이어지는 구간에 형성돼 있다.
2000년대 초 두세 곳에 불과하던 구제 점포는 하나둘 늘기 시작해 어느덧 40여 개로 늘어나 문화동의 특화상권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최근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 장기화로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제'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에서 이 거리의 잠재력은 더욱 크다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문화동 '구제 거리'의 강점은 매장의 종류부터 분위기까지 각양각색이라는 점이다.
의류뿐 아니라 신발, 모자, 가방, 지갑 등 다양한 액세서리까지 판매해 소비자들에게 다채로운 선택지를 제공한다.
과거에는 인근 주민들과 지역 시민들만 이용했지만, 최근에는 입소문을 타고 전국 각지의 구제 마니아들과 리셀러(Reseller), 외국인들까지 방문하고 있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박 의원은 "문화동 '구제 거리'는 우리 충주에 자생적으로 형성돼 상인들의 노력으로 지금까지 명맥을 유지해 온 소중한 상권"이라며 "이곳이 자유시장 순대 골목과 같이 우리 시만의 특색 있는 '특화 거리'로 지정돼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유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경남 김해시 등 여러 지자체에서는 이미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특색있는 상권을 '특화 거리'로 지정하고 네이밍 브랜드화, 조형물 설치, 홍보비 지원 등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명소로 재탄생시키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는 충주시도 이러한 사례를 참고해 문화동 '구제 거리'를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의원은 "문화동 '구제 거리'는 우리 충주의 몇 안 되는 특색 있는 공간이자, 지역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한 곳"이라며 "'구제 거리'를 지역의 대표적인 '특화 거리'로 지정해 육성한다면 더 많은 방문객을 유치하고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