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택시장안정화관계기관회의<제공=경남도> |
회의에는 주택건설협회, 건축사회, LH, 공인중개사협회, 8개 시군 주택부서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도는 최근 도내 주택 매매시장에서 공급이 수요를 웃도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2~3분기에는 미뤄졌던 청약과 준공 물량이 집중 공급될 것으로 전망돼 미분양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전월세 시장은 수요·공급이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어 실수요는 일정 부분 유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방의 자구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중앙정부에 세제 혜택 등 실질적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김해시는 일부 미분양 단지를 임대분양으로 전환해 공급 과잉을 조절하고 있으며, 주택건설협회 경남도회는 LH의 미분양 주택 매입 기준 완화와 매입 물량 확대를 건의했다.
한편, 경남도는 15일 부산·울산과 함께 대구에서 미분양 대책회의를 열고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미분양 장기화가 우려되는 만큼,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완화와 같은 대책 필요성도 제기됐다.
신종우 도시주택국장은 "침체된 시장 속에서도 실수요는 유지되고 있다"며 "영남권 공동 건의 등을 통해 근본적 대책 마련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지역 차원의 대책과 함께, 미분양의 구조적 원인인 수요 예측 오류와 입지 편중 문제에 대한 정밀 분석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