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가 내포 종합병원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신중한 검토를 이유로 계획안을 부결시킨 것은 재원 문제에 있다. 도의회에 제출한 계획안은 1단계로 487억원을 들여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일원에 2028년 3월까지 소아 진료 중심 병원을 건립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이후 2030년까지 중증 전문진료센터를 완료하겠다는 내용이 핵심이다. 도의원들은 재정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 2000억원 이상의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느냐는 의견이다.
내포 종합병원 건립과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소요되는 막대한 재원 조달 방안은 충남도의 당면 과제다. 내포 종합병원 건립을 위한 안팎의 여건은 녹록지 않다. 의정 갈등이 지속되면서 수도권 대형병원조차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9일 서울 소재 상급 종합병원의 병상 신설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수급 관리계획을 발표했다. 서울 소재 대형병원들의 분원 설립이나 병상 신설은 당연히 어려워지게 됐다.
인구 4만3527명인 내포신도시를 포함한 주변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보건의료 핵심 인프라가 지역거점 병원 설립이다. 내포 종합병원 건립은 단체장이 임기 내 치적을 남기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과는 결이 다른 현안이다. 도의회가 국비 확보 등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을 요구한 이유다. 보건복지부는 지자체 공모를 통한 대형병원 분원 설립과 관련해 추가 지침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충남도와 의회는 물론 지역정치권이 내포 종합병원 설립을 위해 시간을 갖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