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경. /KINS제공 |
![]() |
지방방사능측정소는 인구밀집지역과 지역적 안배 등을 고려해 전국 15개 지역(서울·부산·대구·대전·광주·춘천·군산·제주·강릉·안동·수원·청주·울산·인천·진주) 대학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평상시 각 지방방사능측정소는 환경방사능 감시업무를 수행하며 비상 시에는 중앙방사능측정소(KINS)에서 방사선 사고유형에 따라 별도 감시계획을 수립해 운영한다.
![]() |
제주지방방사선 측정소. /KINS제공 |
국가 환경방사선감시망은 원전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지자체 등 2025년 현재 전국 244개소를 운영하며 무선통신을 통해 지속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평상시 전국 환경방사선 준위 변동 감시와 더불어 비상시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원전 등 원자력이용시설 주변은 방사선으로부터 주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KINS가 더욱 심도 있게 살펴보는 곳이다. 원자력이용시설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는 시설 주변 환경의 방사성 핵종 농도 분석과 주민 피폭선량 평가를 통해 시설운영이 환경과 주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시설로부터 환경으로 배출된 방사성물질의 축적경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 KINS는 원자력안전법 제104조 제2항에 따라 사업자의 방사선환경조사와 방사선환경영향평가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 8개 원자력이용시설에 대한 방사선환경조사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위탁받아 수행하고 있다. 측정된 감시소별 방사선 수치(공간감마선량률)는 국가환경방사선감시망(IERNet)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eRAD@NOW)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
해수방사능 분석. /KINS제공 |
국내 해양환경방사능 감시는 1993년 구소련의 방사성 폐기물 해양 투기 사실이 밝혀지면서 시작됐다. 1994년부터 동·서·남해 22개 정점에서 수심별 해수, 해저퇴적물·해양생물 시료를 추가해 방사능 농도 변동 추이를 평가하고 있으며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지속적으로 강화돼 그 범위가 배타적 경제수역까지 확대됐다.
2025년 현재 KINS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연안에서 약 300km)의 표층해수(40개 정점), 수심별 해수(6개 정점), 어류 및 패류 해조류 등 해양생물(약 80개 정점, 100여종), 해저퇴적물(15개 정점)에 대해 주기적으로 삼중수소, 세슘137, 스트론튬90, 플루토늄 등 해양 환경 방사능을 조사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와 KINS는 2023년부터 신속분석을 도입했다. 신속분석 정점은 2023년 33개소에서 2024년 38개소로 강화했으며 분석 결과는 '원자력안전정보공개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INS의 해양 환경 방사능 감시는 단순한 수치 확인을 넘어서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판단과 정책 대응의 근거가 되고 있다. 또 각종 시료의 방사능 농도 변화를 장기적으로 추적함으로써 단기적 이상뿐 아니라 장기적인 환경 변화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
서귀포마라도 감시장비. /KINS 제공 |
KINS 임승철 원장은 "세계 최고의 방사능 분석 능력과 철저하고 세밀한 감시를 통해 기관 본분인 국민 안심에 기여할 것"이라며 "업무수행체계의 합리화와 직원들의 잠재력과 역량을 더욱 발휘할 수 있는 체계 정립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글로벌 원자력 안전규제전문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 |
IAEA협력센터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