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신규 공동주택 개발 유무에 따른 읍면동별 인구 변화

  • 전국
  • 천안시

천안시, 신규 공동주택 개발 유무에 따른 읍면동별 인구 변화

-최근 신규 공동주택 입주 완료한 풍세면 인구증가율 141.7%, 인구증가 수 5841명
-2028년 2월까지 준공 예정인 공동주택 예상 입주자 1만5763명 추산
-1인 가구 전환, 관내 인구이동 등 인구감소 지역도

  • 승인 2025-04-16 11:15
  • 수정 2025-04-16 15:35
  • 신문게재 2025-04-17 12면
  • 정철희 기자정철희 기자
천안지역 내 내국인 인구가 소폭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신규 공동주택 개발 유무에 따른 읍면동별 인구 변화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16일 천안시에 따르면 풍세면은 2024년 1월 3200세대의 공동주택이 들어서면서 내국인 기준 총인구가 1년 만에 4000명에서 1만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에 인구증가율 순위를 보면 상위권에 대부분 신규 공동주택 입주가 완료된 지역이 분류됐으며, 풍세면은 141.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뒤를 이어 문성동 118.5%, 부성1동 10.3%, 부성2동 9%, 성정1동 4.3% 등으로 조사됐다.

인구증가 수 순위는 풍세면 5841명, 부성2동 5137명, 부성1동 4737명, 문성동 4249명, 청룡동 2300명 등으로, 인구증가 요인에 신규 공동주택 입주가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24년 12월~2028년 2월까지 부성1·2동, 두정동, 신부동, 청룡동, 일봉동, 성성동 등에 대규모 공동주택이 준공했거나 공사 완료 예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인구정책 종합계획 산출식인 세대수 X 45.3%(2035 천안도시기본계획 주택건설사업 외부유입률) X 2.2명(국가통계포털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으로 유입 인구를 추계한 결과, 1만5763명 규모의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처럼 관내 인구증가가 특정 지역에 몰려있는 반면 타 읍면동 지역에서는 인구감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인구감소율 순위는 중앙동 13%, 성남면 11.8%, 원성1동 11%, 봉명동 10.7%, 수신면 9.6% 등이며, 인구감소 수 순위는 쌍용2동 3274명, 성환읍 2222명, 신방동 2128명, 봉명동 1937명, 목천읍 1788명 등으로 9개 읍면동이 상위권에 기록되고 있다.

시는 이러한 감소세를 두고 주택 수에 큰 변동은 없는 상황에서 1인 가구로의 전환 현상과 신규 공동주택 입주에 따른 관내 인구이동의 형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규모 신규 공동주택 입주가 인구 유입의 큰 역할을 하지만, 특히 읍면 지역은 아무래도 주거 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건설 사업이 쉽지 않은 것 같다"며 "이외에도 읍면동별 인구 변화는 직업, 교육, 주거환경 등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천안=정철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장대삼거리 구간·둔곡교차로 BRT 정류장 공사 올스톱
  2. 이장우 불출마 선언... "대통령실 세종과 대전 경계선에 이전하자"
  3. "부끄러운 건 파업이 아니라 우리의 반응" 대전 급식 갈등 A고에 붙은 대자보
  4. 대전 월평동 싱크홀 왜?… 30년 된 노후 하수박스 때문
  5. 대통령실 이전 '대전과 세종 경계선' 발언은 왜
  1. 휴대전화 뺏었다고 교사 폭행... 무너진 교권, 대책은 없나
  2. 충청권 매출 성장 1위 기업은 어디?
  3. 대전시불교총연합회 주최 대전시민연등문화축제
  4. "합격자 정원축소" 목소리 내는 변호사계… 지방 법조인 배출 영향 신중론도
  5. 음주운전 사망사고 발뺌 30대 '징역 8년' 선고

헤드라인 뉴스


휴대전화 뺏었다고 교사 폭행... 무너진 교권, 대책은 없나

휴대전화 뺏었다고 교사 폭행... 무너진 교권, 대책은 없나

서울의 한 고교에서 고3 학생이 수업 중 휴대전화 게임을 제지하는 교사를 폭행한 사건이 발생해 지역 교육계 공분이 이어지고 있다. 무너진 교권의 참상이 극명히 드러난 것이라는 지적 속에 교육당국의 구체적 휴대전화 지침 수립과 재발 방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15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4월 10일 서울 양천구 A 고교에서 학생이 휴대전화를 쥔 손으로 교사의 얼굴을 가격하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학생은 수업시간에 휴대전화 게임을 교사가 지적하자 이런 행동을 한 것으로 알려져 서울시교육청이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전국 곳..

`행정수도론`에 과도한 견제 심리...2025년엔 제 길 갈까
'행정수도론'에 과도한 견제 심리...2025년엔 제 길 갈까

2004년 1월 '신행정수도특별법 공포 후 10개월 만에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2020년 7월 '행정수도 이전 선언과 특별법 제정 움직임, 이후 6개월 만에 좌초, 수도권 땅 투기 논란으로 흡수', 2025년 6월 '대선 국면의 행정수도 개헌론과 특별법 재심 의제 수면 위 그리고 ???'. '세종시=행정수도' 담론이 이번에도 암초를 만나 좌초되는 역사에 놓일 것인가. 아니면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대의로 자리매김할 것인가. 수도권 초집중·과밀과 국가 불균형, 지방소멸·고령화·저출산이란 국가·시대적 위기 요소를 고려하면, 더는..

"지역 청년 다 떠날라" 충남 청년 구직자 대상 직접지원 대폭 축소
"지역 청년 다 떠날라" 충남 청년 구직자 대상 직접지원 대폭 축소

충남도 내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인건비 지원사업이 대폭 축소됐다. 충남경제진흥원은 인건비 지원과 같은 직접지원에 형평성 문제가 있다며 인턴 사업 등 간접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제조업 중심으로 산업군이 형성된 충남에서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끊이질 않고 있다. 15일 충남경제진흥원(이하 진흥원)에 따르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예산은 2023년 121억 8000만 원에서 2024년 60억으로 감액 편성됐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도내 청년층의 지역 정착 활성화와 미래 신산업·지역..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

  •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

  • 부처님 오신 날 앞두고 연등 장식 부처님 오신 날 앞두고 연등 장식

  • ‘더웠다, 추웠다’ 변덕스러운 봄 날씨 ‘더웠다, 추웠다’ 변덕스러운 봄 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