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일부 후보들이 충청 현안의 대선 공약화를 주장하고 있고는 있지만 지역 정치인이 대선링에서 자력으로 드라이브를 거는 것과는 동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이 15일 대선 경선 출마 접수를 마감한 가운데 충청 주자는 단 1명도 등록하지 않았다.
당초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충청 보수진영 대권 주자로 거론돼 왔지만 각각 시도정에 충실하겠다는 이유로 대선링에서 자진 퇴장했기 때문이다.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은 이 시장과 김 지사가 밀고 있는 대전 충남 현안을 얼마나 대선공약에 반영하느냐 여부다.
대표적인 사안은 대전 충남 행정통합이다. 김 지사와 이 시장은 충청권이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고 수도권 일극체제에 맞서기 위해 경제권과 생활권 통합을 추진 중이다.
이른바 '대전 충남 통합 특별법'을 만들어 내년 6월 지방선거 이전까지 통합을 완료키로 뜻을 모았다.
대선을 전후해 여의도 정치권에서 특별법 국회 통과를 위한 군불을 만들어야 내야 하는 것이 급선무다.
대전 충남 다수 국회 의석을 가진 더불어민주당 충청 진영은 사전에 협의가 없었다는 점을 들어 대전 충남 통합에 대해 마뜩치 않다는 스탠스를 보이고 있다.
그래도 믿어볼 구석은 국민의힘 다른 경선 주자가 이 시장과 김 지사의 뜻을 이어받아 이를 강력히 주장해 주는 것이다.
하지만, 지역별로 행정통합에 대한 이해관계가 다른 데다 지역 출신 정치인이 모두 하차한 보수 정당 경선 과정에서 이 사안이 얼마나 추동력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대전 충남 혁신도시 제2차 공공기관 이전도 마찬가지다.
2005년에 시작된 제1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2019년까지 153개의 공공기관이 전국 10개 혁신도시에 이전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지난 2020년 전국에서 11~12번째로 혁신도시로 지정받은 바 있지만 공공기관 이전은 전무, 무늬만 혁신도시 오명을 쓰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 이어 윤석열 정부까지 제2차 공공기관 이전 로드맵을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전과 충남은 이번 대선정국에서 이 같은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해 해결책을 마련해야 하는 공통적 숙제가 있다.
하지만, 비수도권 각 지역별로 공공기관 유치 경쟁이 거센데다 충청 보수 잠룡들이 하차한 상황에서 대전 충남의 요구가 얼마나 관철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각에선 충청 현안의 대선 공약 반영을 위한 지역 정치권의 노력을 촉구하고 있다.
이장우 시장은 지난 14일 불출마를 선언하는 자리에서 "중앙 정치에서 충청 출신 국회의원 수는 과반에도 미치지 못하며 전국 지방자치단체장 구성에서도 충청 출신은 현저히 적은 비율"이라며 "이러한 구조 속에서 공천 과정 또한 지역적 편중이 강화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충청권 정치가 이번에도 중심에서 멀어진다면 이는 충청 발전에 결코 긍정적이지 않다"며 지역 정치의 균형 회복과 충청권의 실질적 역할 강화를 강조했다.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