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이 시장은 14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조기 대선에서 후보에게 공약으로 전달할 대전 지역 주요 현안이 무엇인지"라는 질문에 대통령실 이전을 언급했다.
이 시장은 "최근 대통령실 세종 이전, 얘기를 참 많이 하는데 저는 대통령실을 도리어 대전과 세종 경계선쯤에 해야겠다는 의견을 당에 전달할 것이다"며 "각 후보들에게 지금 (대전) 3청사를 포함한 정부 기관이 대전과 세종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대통령실을 마련한다면, 충청권 수부도시인 대전과 세종의 경계선 쯤에 하면, 양 도시 발전에서 훨씬 좋다는 생각이며 이것은 추가로 (당에) 전달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조기대선 후보들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대통령실 이전은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현 용산 대통령실 지속 사용에 대해 진보와 보수 후보자 관계없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은 세종 이전을 언급하고 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고, 김동연 경기지사도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을 강조하고 있다.
유력 후보인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도 직접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3월 비공개회의에서 대통령실과 국회의 세종 이전을 포함한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국민의 힘에서는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도 2024년 국회와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계획을 발표했으며, 홍준표 전 대구시장과 안철수 의원이 청와대 복귀 의사를 밝혔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최근 대전을 방문해 "청와대, 여의도 국회를 합친 명품 집무실을 구축해 세종시를 국민통합의 장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 시장의 제안은 대전과 세종의 상생 발전에 방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대전과 세종은 충북, 충남과 함께 '메가시티' 구축에 나서는 등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봐도 무방하다.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입지를 구축하는 세종시에 가장 필요한 것은 자족경제 기능이다.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게 바로 대전시다. 대전시로서도 세종시가 행정수도로 완성되면 인접한 수부도시로 도시 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정부세종청사 주변에 58만㎡의 터를 비워놓았지만, 이는 2년 후인 2027년에야 완공될 '제2대통령실' 부지로 공간 자체가 넓지 않다. 좀 더 적합한 대안 부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민주당에 비해 국민의힘 후보들이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대해 미온적인 입장을 보인 것도 이 시장이 아이디어를 낸 이유로 읽힌다.
당내에서 충청에 대한 배려와 국가 발전 차원에서 대통령실 세종 이전의 당위성을 높일 방안을 제시한 것.
지역 정가 한 인사는 "대선 후보들이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얘기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뤄지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면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행정수도인 세종으로 대통령실이 이전해야 한다면 어떤 방향이 최선인지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세종시에서는 김하균 행정부시장이 "대통령실이 (세종과 대전이) 나눠먹기 할 사안인가"라며 '유감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