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축제는 '과학기술의 엔진, 호기심을 깨우다'를 슬로건으로, 호기심 발전소·호기심 연구소·호기심 테마파크 등 3개 분야로 나눠 진행된다.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행사인 호기심 연구소는 우주발사체 누리호, 4족 보행 로봇 등 우수 연구성과와 함께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참가 아이템들을 볼 수 있게 꾸며진다.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행사인 호기심 테마파크는 드론 레이싱·야간 열기구 등 체험 위주의 즐길 거리로 마련됐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가 대전에서 2년 연속 개최되는 건 높은 국민적 관심에 따른 것이다. 지난해 과학기술축제 방문객은 50만 명에 육박, 코로나19 이전 수도권에서 개최할 당시보다 50% 이상 증가했다. 올해는 지난해 대전시가 별도로 개최한 사이언스페스티발까지 합류해 규모와 내실을 한층 강화한 축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대전시민의 높은 호응도와 대국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3개 축제를 일원화했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올해 사이언스페스티벌이 국내 대표 과학축제들과 통합해 열리면서 브랜드 확장의 전환점을 맞게 됐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축제는 과학 도시인 대전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탄핵과 조기 대선 정국 탓에 사회 분위기가 무겁지만, 많은 시민들이 축제에 참여해 과학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하고 즐기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 과학기술축제의 성공적인 운영으로 대전이 고정 개최지로 굳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