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양대병원 외과 윤대성 교수(왼쪽)가 다빈치SP 로봇수술을 준비하는 모습. (사진=건양대병원 제공) |
최근 40대 여성 A씨는 좌측 유방의 멍울이 만져져 개인병원에서 조직검사를 받은 결과 왼쪽 유방암, 오른쪽 석회화 유방질환이 확인되어 건양대병원을 찾았다. 윤대성 교수는 환자를 검사해 양측 유방 절제가 필요한 상태임을 확인하고 단일공 로봇 수술기인 다빈치 SP를 이용한 로봇수술을 결정했다.
일반적인 유방암 수술은 유방암 조직은 물론 유두를 포함한 유방전체와 겨드랑이 임파선까지 직접 절제 하기 때문에 수술의 범위가 넓어져 정면으로 보면 흉터가 남아 환자들의 만족도가 낮다. 첨단 단일공 로봇수술기를 이용한 로봇 양측 유두보존 유방절제술은 양쪽 겨드랑이 부근 3~5㎝ 정도의 절개만으로 유방암을 절제함과 액와 림프절 수술이 가능해, 기존의 유방암 수술보다 흉터가 작아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유두와 유륜을 보존할 수 있으며, 환자의 빠른 회복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한 권성욱, 배인의 교수팀이 유방절제술 후 조직확장기 삽입 과정 없이 절개 부위를 이용해 유방재건술도 동시에 이뤄져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상승했다.
윤대성 교수는 "지금까지 축적해 온 로봇수술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한층 정교하게 단일공 로봇수술을 통해 유방암 치료에 성공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로봇수술의 장점을 극대화해 환자의 빠른 회복과 심리적·미용적 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임상과 연구 분야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