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우리병원 이광원 관절센터장 |
어깨가 아파 진료실을 찾은 환자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는 질문은 "어깨를 많이 사용해서 오십견이 생겼나요?"이다. 오십견에 대해 흔히 알기로는, 나이가 들어 자연스럽게 나타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된다고 알고 있다. 조금 심한 경우 약물이나 물리치료 혹은 민간요법 정도면 치료가 충분하다 여기고 많은 환자가 치료를 안 하거나 뒤늦게 병원을 찾는 경우를 자주 본다.
오십견, 즉 유착성관절낭염은 왜 생길까? 환자의 대부분은 특별한 이유 없이 서서히 증상이 시작되어 병원을 찾게 되며, 내과적인 질환으로 시술받거나 또는 갑상선 또는 유방 등에 대한 외과적인 수술 이후에 증상이 발생하여 협진을 통해 정형외과를 방문하는 경우도 흔하다. 당뇨병을 갖고 있을 경우 10~36%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인슐린 의존형 당뇨의 경우 더 심한 증상과 함께 보존적 치료의 효과가 좋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다수 있다. 따라서 오십견 치료에 있어서 당뇨가 있는 환자들은 더 긴 유병기간과 함께 당뇨의 조절 정도에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오십견을 진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무엇보다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이 심하게 오는 경우는 오십견의 가능성이 높지만, 초기의 경우 통증만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질환들을 잘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찰을 통해 통증의 부위와 양상, 관절의 상태를 살피는 것이 우선이며, 이후에 엑스레이 등의 기본적인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어깨 관절의 상태, 석회성 병변, 경추부의 병변 유무 등을 살펴보게 된다.
환자 나이가 40대 이상에서 퇴행성 변화가 예상될 경우, 초음파를 통해 견관절의 힘줄을 비롯한 구조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회전근개 파열 등의 다른 질환을 감별하게 된다. 진찰과 이러한 검사들에서 관절의 병변이 의심될 경우, MRI(자기공명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MRI 소견상 회전근개 등의 힘줄과 인대, 관절의 상태가 양호하면서 관절낭의 비후와 유착 소견이 관찰될 때 진단할 수 있다.
오십견 치료의 목표는 통증을 완화하고 운동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운동성의 장애를 주는 관절낭의 섬유화로 비후 및 구축 상태를 가지는 통증의 원인은 관절낭의 염증이다. 또 움직일 때의 통증에는 관절낭의 섬유화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치료는 염증을 줄이고 관절낭을 유연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염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의 경구 투여나 국소 적용을 할 수도 있고 온열치료 등의 물리치료를 할 수도 있다. 가장 강력한 것은 스테로이드 약물을 관절강내 주사하며, 제 1~2기에는 매우 빠른 효과를 보일 수 있다. 관절낭의 비후와 구축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칭이 가장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효과적인 스트레칭을 위해 온열치료가 효과적이다.
스트레칭을 통해 관절가동범위의 회복이 잘 안 되거나 느릴 경우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관절 수동술, 수압 팽창술, 관절경 수술 등이 있다. 관절 수동술(브리즈망)은 가장 적극적인 비수술치료 방법으로 수면 마취 후 초음파 유도하에 유착방지제 주입한 뒤 수동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확보한다. 심한 경우 관절 수동술 후 관절경을 통해 유착된 관절낭을 정리하기도 하며 염증을 씻어내기도 한다. 시술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당일 퇴원이나 하루나 이틀의 입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비수술치료방법으로 해결이 되지 않을 때 관절경을 이용하여 관절낭 유리술을 시행한다. 오십견은 대부분 회복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통증과 관절 및 주변 근육의 강직이 동반되기 때문에 온찜질 및 따뜻한 물(목욕탕 또는 사우나)을 이용한 관절의 이완이 일시적인 통증 경감 효과가 있어서 운동 전에 병행하게 되면 좀 더 적극적으로 스트레칭을 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오십견은 자연 치료가 될 수도 있지만 치유 기간이 통계적으로 1년에서 2년으로 매우 길고, 당뇨 등의 내과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양측으로 발병 가능성이 더 높아지고, 최종적으로 호전되지 않아서 수술적 치료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기다리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을 권유한다. /대전우리병원 이광원 관절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