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급식 갈등 사태를 겪고 있는 A고에 붙은 한 학생의 글. |
조리원 처우 개선과 맞물려 대전 A고 급식 갈등 사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해당 학교 재학생이 교내 대자보를 통해 밝힌 소신이다.
14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날 A학교 '한 명의 학생'이라고 밝힌 이가 학교에 '부끄러운 건 파업이 아니라 우리의 반응'이라는 제목의 대자보를 게시했다. 다만 해당 대자보는 현재 철거된 상태다.
'조리원 파업에 대한 한 학생의 생각'을 적은 이 글엔 현재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의 준법투쟁과 이를 둘러싼 갈등을 바라보는 학생의 의견이 담겼다. 이 학생은 "최근 조리원 선생님들께서 노동 권익을 지키기 위해 파업에 나서신 상황을 접하며, 학교 안팎에서 나오는 반응들(특히 일부 선생님들과 학생들이 불만과 비난)을 보며 깊은 안타까움을 느꼈다"며 "물론 급식 중단과 교사 배식대 철거, 반찬 수 제한 같은 변화는 교사나 학생 입장에서 다소 불편하거나 당황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지금 우리 안에서 퍼지고 있는 반응은 단순한 불편함의 표현을 넘어서 감정적이고 편향적인 비난으로 흐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는 이 분위기가 오히려 쟁의의 본질을 왜곡하고 근본적인 문제로부터 시선을 돌리게 만든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해당 학교는 3월 31일 조리원과 학교 측의 갈등으로 당일 급식 파업이 일어났고 이후 학교 측이 석식을 중단한 상태다. 학교는 안내문을 통해 "쟁의 행위 내용을 적용하게 되면 급식의 질이 지금보다 현저하게 낮아질 수밖에 없다"며 "중식만이라도 최소한의 질을 유지해 보고자 부득이 석식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됐다"고 설명했다.
학부모들은 조리원 당일 파업 등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등굣길 피켓 시위를 진행했으며 학생회는 의견문을 통해 집단 급식거부 대응을 계획을 알렸다. 10일 학생회는 "급식 조건 변경 없이 현재와 동일하게 건강하고 안정적인 급식 제공을 강력 요구하며 학생들의 건강권 침해행위 발생 시 집단 급식거부 등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임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홀로 대자보를 붙인 학생은 학교가 발표한 안내문이 조리원 사정이나 노동환경에 대한 설명 없이 학교 입장 중심으로 쓰였으며 학생회 입장 역시 일방적인 입장을 전파하고 서명을 유도했다고 지적했다.
이 학생은 그러면서 "지금 우리가 불편함을 감수하고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단지 조리원 선생님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미래의 나 그리고 우리의 권리를 지키는 일이기도 하다"며 "부끄러운 건 이틀간의 파업과 진행 중인 쟁의가 아니라 그 앞에서 우리가 보인 냉소와 조롱이다. 이 글과 소수의 의견이 억압되거나 묻히지 않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지역에선 A고를 비롯해 급식 조리원 갈등 사태가 확산되는 모양새다. 앞서 11일 B중 조리원이 단체 병가를 내면서 이날 대체식이 제공됐다. 다만 이들 조리원은 조만간 현장 복귀를 검토할 것으로 전해진다.
학비노조 대전지부 관계자는 "시일 내 학교에 방문해 문제 해결에 대해 논의하고 복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A고 대자보에 대해선 "큰 힘이 되고 한편으론 미안하기도 하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