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1일 대전 서구 월평동 은뜰삼거리 회전교차로 일대에서 발견된 싱크홀 모습 (사진=대전소방본부 제공) |
14일 중도일보 취재결과, 4월 11일 낮 12시 41분께 서구 월평동 은뜰삼거리 회전교차로 일대 도로에서 내부 폭 2m, 깊이 1m, 외부 폭 40㎝ 정도의 소형 싱크홀이 발견됐다.
대전시와 서구청이 발생 원인을 조사한 결과,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 중 하나인 하수박스에 약 20㎝ 조그만한 파손이 일어나 그 틈으로 상부에 있던 토사가 일부 흘러 들어가면서 땅 꺼짐이 생긴 것으로 확인됐다. 서구청은 당일 하수박스의 파손된 부위를 메꾸고 구멍 난 도로에 포장 작업을 해 보수를 마쳤다. 해당 하수박스는 1990년대 월평동 택지개발 당시 매설된 것으로 최소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로 추정 중이다. 이를 포함해 올해 기준 설치된 지 20년이 지난 서구 지역 노후 하수관로 연장은 762㎞ 중 342㎞로 절반 가량이 노후 하수관으로 파악됐다.
최근 5년간 대전 지역에서 나타난 싱크홀·땅 꺼짐 현상은 2020년 20건, 2021년 8건, 2022년 9건, 2023년 9건, 2024년 4건으로 매년 발생해왔다. 대부분 노후 하수관로의 파손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전은 타 지역에 비해 노후 관로 비율이 높은 편이다. 대전시에 따르면 올해 기준 대전에 설치한 지 20년이 지난 하수관로 연장은 전체 하수관로 연장 3645㎞ 중 2263㎞로 노후율은 62%에 달한다. 앞서 2022년 환경부가 전국 17개 시·도 하수관로 노후율을 조사한 결과, 60% 이상인 곳은 대전을 포함해 서울, 대구, 광주 등 4곳 뿐이었다.
이에 대전시는 2019년부터 3단계에 걸친 연차별 노후관로 정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1단계 사업으로 홍도동, 둔산동, 궁동, 송강동 지역 노후 하수관로 19㎞를 정비하고, 도마동, 변동, 가장동 일원의 노후관로 13㎞를 개선하는 2단계 정비사업을 마쳤다.
2026년까지는 효동, 석교동, 정림동, 궁동, 대화동 일대 노후관로 13㎞를 정비하는 3단계 사업을 진행한다. 내년에도 환경부로부터 국비를 지원받아 300억(국·시비)을 투입해 2029년까지 노후 하수관로 13㎞를 추가 정비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노후관로 1654㎞에 대한 정밀조사도 진행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노후 하수관로는 증가하는 반면, 10㎞ 정비도 수백억의 예산이 소요되다 보니 단기간에 정비하기에는 쉽지 않아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우선은 싱크홀 우려에 올해 위험 가능성이 있는 하수관로 565㎞에 대해서도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를 통해 공동(空洞)현상이 발견되는 것은 없는지 조사할 방침"이라며 "현재 노후 하수관로 정비·보수는 규정상 30% 정도만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데, 정부에서 노후율이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국고 보조율을 높여줬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