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대선 초반 캐스팅보터 충청판세 시계제로

  • 정치/행정
  • 대전

6·3대선 초반 캐스팅보터 충청판세 시계제로

리얼미터 충청 민주 40.8% vs 국힘 36.0% 오차범위 내 접전
한국갤럽 조사 충청 대권주자 선호도에 의견 유보 38% 달해
지역민심 진전성 있는 공약 제시한 후보 또는 당으로 기울듯

  • 승인 2025-04-14 16:20
  • 수정 2025-04-14 17:22
  • 신문게재 2025-04-15 4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2025040701000645600025301
사진=연합뉴스
6·3 조기대선 레이스가 본격화 된 가운데 전통적 캐스팅보터 지역인 충청권 판세는 어느 한쪽의 승리를 예단할 수 없게 시계제로다.

무당층 또는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두 자리 수로 나타난 여론조사가 발표됐기 때문이다.

앞으로 대선정국에서 충청 발전을 위한 진정성 있는 공약을 내놓은 정파나 후보로 지역 민심이 기울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주목된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9~11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 포인트)에 따르면, 대전·세종·충청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0.8%, 국민의힘 지지자는 36.0%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청 지역의 무당층 비율은 7.9%로, 강원(9.9%)과 서울(9.4%)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전국적으로는 민주당 46.7%, 국힘 33.1%로 13.6%p의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보수 진영의 정권 재창출이냐 아니면 진보 쪽으로의 정권 교체냐를 두고서도 충청의 민심은 예단을 어렵게 했다.

이번 조사에서 충청권 응답자 중 53.1%가 "정권을 교체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정권을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은 40%에 그쳤다.

이는 정권 교체 의견이 60% 이상을 웃도는 서울(59.6%), 인천·경기(63.2), 광주·전라(75.9%), 제주(60%) 등에서 야권 지지가 압도적인 것과 비교하면 충청의 격차는 좁아 보인다.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45.3%로 독주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12.7%로 뒤를 이었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9.7%), 국힘 한동훈 전 대표(8.9%), 같은당 홍준표 전 대구시장(6.0%) 순이었다.

특히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차기 주자를 둘러싼 경쟁이 혼전 양상이다.

충청권에서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23.3%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으며, 이어서는 한동훈 전 대표(11.9%), 유승민 전 의원(10.4%) 등이다. 전국적으로는 유승민 전 의원이 한동훈 전 대표를 앞선 반면 충청은 유승민 전 의원보다 한동훈 전 대표를 선택했다.

앞서 지난 11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지난 8~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5명을 대상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 포인트)에서도 충청 민심은 갈팡질팡했다.

민주당 지지율은 40%, 국민의힘 31%로 나타났지만, 무당층 비율은 20%로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에서는 이재명 전 대표가 37%의 지지를 얻었고,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10%, 한동훈 전 대표 5%, 홍준표 전 대구시장 4% 순이었다.

주목할 점은 충청권 응답자 중 38%가 지지 후보를 정하지 않았다고 밝히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유보' 비율을 보였다는 점이다.

리얼미터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4.7%였다.

한국갤럽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접촉률은 38.2%, 응답률은 14.9%였다.

이들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장대삼거리 구간·둔곡교차로 BRT 정류장 공사 올스톱
  2. "부끄러운 건 파업이 아니라 우리의 반응" 대전 급식 갈등 A고에 붙은 대자보
  3. 대전 월평동 싱크홀 왜?… 30년 된 노후 하수박스 때문
  4. "합격자 정원축소" 목소리 내는 변호사계… 지방 법조인 배출 영향 신중론도
  5. 음주운전 사망사고 발뺌 30대 '징역 8년' 선고
  1. '美 품목 관세 영향권' 대전 자동차 부품업계 긴장감 고조
  2. 이광형호 KAIST 연평균 110개 스타트업 창업… 누적 주요 기업 가치 10조 원
  3. [2025 과학의 날] 지질자원연 GeoAI 플랫폼 개발로 지질자원 산업 혁신 이끈다
  4. [사설] '산림재난 훈련센터' 건립 서둘러야
  5. [사설] 지역의 국가유산 전면 점검 필요하다

헤드라인 뉴스


민 3명·국 8명 예비후보 등록… 경선레이스 본격 시작

민 3명·국 8명 예비후보 등록… 경선레이스 본격 시작

6·3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당내 경선에 나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3명, 국민의힘은 8명으로 압축됐다. 민주당은 빠르면 27일, 국힘은 29일 대선 후보를 확정할 예정이지만,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최종 후보 선출은 5월 초로 미뤄진다. ▲더불어민주당=원내 1당인 민주당이 15일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마감한 결과, 김경수(67년생) 전 경남도지사와 김동연(57년생) 경기도지사, 이재명(64년생) 전 대표 등 모두 3명이 출마 신청을 마쳤다. 3명의 후보를 대상으로 전국 4개 권역을 순회하며 경선을 치른 후 권리당원 투표 50..

`행정수도론`에 과도한 견제 심리...2025년엔 제 길 갈까
'행정수도론'에 과도한 견제 심리...2025년엔 제 길 갈까

2004년 1월 '신행정수도특별법 공포 후 10개월 만에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2020년 7월 '행정수도 이전 선언과 특별법 제정 움직임, 이후 6개월 만에 좌초, 수도권 땅 투기 논란으로 흡수', 2025년 6월 '대선 국면의 행정수도 개헌론과 특별법 재심 의제 수면 위 그리고 ???'. '세종시=행정수도' 담론이 이번에도 암초를 만나 좌초되는 역사에 놓일 것인가. 아니면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대의로 자리매김할 것인가. 수도권 초집중·과밀과 국가 불균형, 지방소멸·고령화·저출산이란 국가·시대적 위기 요소를 고려하면, 더는..

"지역 청년 다 떠날라" 충남 청년 구직자 대상 직접지원 대폭 축소
"지역 청년 다 떠날라" 충남 청년 구직자 대상 직접지원 대폭 축소

충남도 내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인건비 지원사업이 대폭 축소됐다. 충남경제진흥원은 인건비 지원과 같은 직접지원에 형평성 문제가 있다며 인턴 사업 등 간접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제조업 중심으로 산업군이 형성된 충남에서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끊이질 않고 있다. 15일 충남경제진흥원(이하 진흥원)에 따르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예산은 2023년 121억 8000만 원에서 2024년 60억으로 감액 편성됐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도내 청년층의 지역 정착 활성화와 미래 신산업·지역..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

  •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

  • 부처님 오신 날 앞두고 연등 장식 부처님 오신 날 앞두고 연등 장식

  • ‘더웠다, 추웠다’ 변덕스러운 봄 날씨 ‘더웠다, 추웠다’ 변덕스러운 봄 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