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모제는 김돈곤 군수와 모덕회 회원, 유족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돈곤 군수가 초헌관, 이응선 모덕회 총무 아헌관, 최진홍 유족 대표 종헌관, 전창수 목면장이 축관을 맡았다.
면암 선생은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그에 동조한 이완용·박제순·이지용·권중현·이근택 등 을사오적을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그러나 상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1906년 4월 의병을 모아 본격적인 항일투쟁에 돌입했다. 이후 선생은 일제에 체포돼 대마도에서의 유배 생활 중 고령과 유배, 단식의 후유증으로 1906년 11월 순국했다.
청양지역 유림은 1913년 공덕사를 짓고 선생의 위패를 모셨으며 공덕사는 이후 고종의 밀지로 지금의 모덕사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된다. 정부는 1962년 면암 선생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군은 면암 선생의 의로운 마음과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2025년 말 준공을 목표로 역사·문화·교육·체험 복합문화공간인 선비충의문화관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모덕사에 들어서는 선비충의문화관은 충청유교문화권 광역관광개발사업의 일환으로 16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면암기념관과 숙박동, 서화의 숲 정원, 면암의 길 등 역사문화교육체험형 공간을 만든다.
면암기념관은 학문 형성 과정과 사상을 소개하는 전시실을 설치하고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식목구조로 지어지는 체험형 교육관으로 면암 선생의 유물과 업적을 전사하고 유배 체험과 선생의 일대기를 담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모덕사 소장유물 기록화 사업을 통해 발견된 고문헌과 민속유물 등 3만여 점 중 가치 있는 유물은 전시콘텐츠로 전환한다. 숙박동은 1박 2일 이상의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체류형 관광을 도모한다.
김돈곤 군수는 "면암 선생의 의로운 마음과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모덕사 소장 유물 기록화 사업과 선비충의문화관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면암 선생의 정신을 후대에 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청양=최병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