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종수 대전시 도시철도건설국장 |
필자는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 부류의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첫째는, 계획 수립 과정에 참여하는 공무원들이다. 공무원은 국가 또는 지방 공공단체의 사무를 맡아보는 사람들로, 법적으로 신분을 보장받고 책임과 권한이 주어진다. 대전시는 세계 최장 순환노선 트램 건설이라는 도전에 나섰고, 트램 3법(도시철도법, 철도안전법, 도로교통법) 개정을 이끌었으며, 불가능해 보였던 무가선 트램 실현을 위해 힘쓰고 있다. 1996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을 착공할 당시 우리시는 지하철 건설 경험이 없어 서울, 부산, 대구 등 타 지자체의 도움을 받았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나라 최초의 트램도시 건설을 자처하고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또한, 대전교통공사, 지역 대학,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국가철도공단 등 전문 기관들의 아낌없는 지원과 협력이 더해지고 있다.
둘째는, 트램 건설에 참여하는 건설 기술자들이다. 트램 건설 사업에는 토목, 건축, 전기, 통신, 기계, 소방, 차량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자들이 참여한다. 작업자뿐 아니라, 사업장 안전관리자와 건설사업 관리자 등 각자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며 하나의 거대한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간다. 마치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각기 다른 악기를 연주하며 하나의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내듯이 말이다. 대전 트램은 지역 업체들의 참여 기회를 보장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38.8㎞ 구간을 15개 사업 구역으로 나누어 시공한다. 참여 기술자들이 장인(匠人)의 마음으로 안전하고 견실하게 사업을 추진할 때, 대전 트램은 향후 100년 이상 시민들의 사랑 받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셋째는, 대전의 주인 대전 시민들이다. 트램 공사는 기존 도로 공간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2~3개 차로를 차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차량 이용 시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대전시는 3월 10일, 트램 공사 기간 동안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66개 우회도로를 활용하고,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 이용 및 시차 출퇴근을 적극 권장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2007년 프랑스 남부 항만 도시 니스에 재도입된 트램은 현재 3개 노선으로 확대 운영 중이며, 파리 T3 구간 역시 성공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불편하지만 정부와 시민이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사업을 진행한 것이 주요 성공 요인이었다. 대전 역시 시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공사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트램을 성공적으로 완성할 것이다.
2028년 말, 대전 곳곳을 누비게 될 트램을 기대한다. 지하철처럼 수많은 계단을 오르내릴 필요 없이 횡단보도를 건너 쉽게 이용하고, 아름다운 시내 풍경을 감상하며 출근하는 시민들의 행복한 표정도 기다려진다. 대전의 미래 교통 100년을 준비하는 트램 건설을 위해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