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숙박·음식점 장기 불황에 쪼그라든다... 소비심리 위축에 위기 깊어지나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숙박·음식점 장기 불황에 쪼그라든다... 소비심리 위축에 위기 깊어지나

대전 여관·모텔 코로나19 이후 지속적 감소에 400곳대로 뚝
기타음식점, 분식점, 중식음식점, 간이주점 등도 지속 감소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도 통계 집계 이래 전례 없이 하락

  • 승인 2025-04-13 12:36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경제계사진
대표적인 서비스 내수 업종으로 꼽히는 대전 숙박·음식업이 장기 불황으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국내 정치적 혼란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위기가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2025년 2월 기준 대전의 여관·모텔은 431곳으로, 매년 크게 감소하고 있다. 지역 여관·모텔 사업자 수는 코로나19가 시작됐던 2020년 2월부터 빠르고 축소되고 있다. 2020년 2월 642곳이던 지역 여관·모텔은 2021년 2월 586곳, 2022년 2월 519곳으로 줄어들다 2023년 2월 452곳으로 가파르게 줄었다. 이후 2024년 2월 438곳, 2025년 2월 431곳으로 쪼그라들었다. 통상 여관·모텔 등은 경기가 호황일 때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업종으로 분류되는데, 그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건 그만큼 경기가 어렵다는 걸 뜻한다.

음식점업도 타격이 깊다. 우선 대전 간이주점의 경우 2024년 2월 65곳에서 2025년 56곳으로, 기타외국인음식점은 이 기간 844곳에서 835곳으로 각각 9곳 줄었다. 여타 음식점 등이 포함된 기타음식점업도 2024년 2월 476곳에서 2025년 2월 454곳으로 22곳 축소됐다. 비교적 창업이 쉬운 분식점은 2025년 2월 1605곳으로, 1년 전(1732곳)보다 127곳이나 감소하며 여느 업종보다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중식음식점 역시 2024년 2월 779곳에서 2025년 2월 752곳으로 27곳 하락했고, 한식음식점도 이 기간 1만 2114곳에서 1만 2050곳으로 64곳 줄었다. 대전의 호프 주점은 2025년 579곳으로, 1년 전(648곳)보다 69곳이 자취를 감췄다. 늘어난 곳도 있다. 패스트푸드점은 2024년 2월 1293곳에서 2025년 2월 1299곳으로 6곳 늘었고 일식음식점도 624곳에서 650곳으로 26곳 확대됐다. 서민들의 경제적 상황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음식점업이 지속해서 축소한다는 건 그만큼 경기가 어렵다는 걸 고스란히 보여준다. 장사는 중단했지만, 차마 폐업 신고를 하지 않은 곳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소규모 창업으로 인기를 끌며 우후죽순 늘어나던 대전 커피전문점은 2025년 2월 3115곳으로, 1년 전(3233곳)보다 118곳 사라졌다.

이 같은 불황은 통계 집계 이래 전례 없는 지수 하향세로 이어진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5년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숙박·음식점의 매출을 기반으로 작성된 서비스업 생산지수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 5월부터 2025년 2월 사이에 2024년 1월만 제외하고는 내내 감소했다. 2025년 1월엔 생산이 1년 전보다 마이너스만 면했을 뿐 제자리걸음이었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이 22개월째 단 한 번도 늘지 못하는 불황이 계속된 것이다. 서비스업 생산지수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역대 최장 부진' 기록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가 2년 가까이 하락하면서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회복됐던 업황도 다시 팬데믹 수준으로 악화했다. 2월 생산지수는 2022년 3월(101.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노후택지지구 정비 본격 추진
  2. 대전 급식 갈등 사태 지속, 단체 병가로 대체식 학교도… 교육청-노조 입장은 평행선
  3. 세종시 복사꽃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4000여 명 건각, 뜨거운 열기
  4. 유성구, 5개구 최초 점심시간 주·정차 단속 유예 확대
  5. "전문 훈련 없이 산불 현장"…대전·세종에 산불진화대원 훈련센터 조속 설립 필요
  1. 교사들 자녀 보호앱 '도청 걱정'… "사회적 논의 통해 대책을"
  2. 30년된 비위생매립장 침출수·매립가스 여전…나머지 58곳 오염관리 '깜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공정과 공평
  4. [대선 D-50] 최대승부처 충청 대망론 대통령실 세종이전 촉각
  5. 휴일 맞아 꽃나들이…유림공원 튤립 만개

헤드라인 뉴스


30년 된 대전 비위생마립장, 침출수·매립가스 여전히 줄줄

30년 된 대전 비위생마립장, 침출수·매립가스 여전히 줄줄

대전에서 생활쓰레기를 땅 속에 묻은 지 30년 지나도록 오염된 폐수와 가스가 계속 발생해 법정 관리 기간을 당초 20년에서 30년까지 연장했음에도 손을 뗄 수 없는 상황이다. 매립장에서 나오는 침출수는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정화하고 매립가스는 현장에서 소각할 정도로 여전히 쓰레기 매립 후 오염 영향이 크다는 것인데, 사유지는 침출수 오염 가능성이 제기됨에도 방치되고 있다. 13일 중도일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대전 대덕구 신대동과 상서동 비위생매립장 침출수 현황을 파악한 결과, 1995년과 1996년 매립을 완료한 신대동과 상서동에서..

[대선 D-50] 출마선언부터 선거준비 분주…레이스 본격화
[대선 D-50] 출마선언부터 선거준비 분주…레이스 본격화

6·3 조기 대선이 5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권 레이스가 본격화되고 있다. 대선 주자들의 출마 선언과 본격적인 활동이 펼쳐지는 가운데 지역에서도 지지세 확산을 위한 각종 움직임과 경선 체제 전환이 이뤄져 대선 분위기가 점차 달아오르는 모습이다. 50일 앞으로 다가온 조기 대선은 일정이 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원내 1·2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확정했고, 각 당의 주자들도 대권 행보를 정하면서 대진표도 완성되어 가는 중이다. 충청에선 이장우 대전시장을 향한 관심이 높다. 충청의 위상 강화와..

대전 숙박·음식점 장기 불황에 쪼그라든다... 소비심리 위축에 위기 깊어지나
대전 숙박·음식점 장기 불황에 쪼그라든다... 소비심리 위축에 위기 깊어지나

대표적인 서비스 내수 업종으로 꼽히는 대전 숙박·음식업이 장기 불황으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국내 정치적 혼란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위기가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2025년 2월 기준 대전의 여관·모텔은 431곳으로, 매년 크게 감소하고 있다. 지역 여관·모텔 사업자 수는 코로나19가 시작됐던 2020년 2월부터 빠르고 축소되고 있다. 2020년 2월 642곳이던 지역 여관·모텔은 2021년 2월 586곳, 2022년 2월 5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0여 일 앞둔 제21대 대통령선거 50여 일 앞둔 제21대 대통령선거

  • 휴일 맞아 꽃나들이…유림공원 튤립 만개 휴일 맞아 꽃나들이…유림공원 튤립 만개

  •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