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산에 흑연 채석장 발견…최고(最古) 동아연필 원료자원 가능성

  • 사회/교육
  • 법원/검찰

보문산에 흑연 채석장 발견…최고(最古) 동아연필 원료자원 가능성

한밭도서관 뒤편 보문산 중턱에서 일제때 채석
임도 개설됐고 채굴 흔적과 샘터 3곳 발견돼
연필 원료, 동아연필 대전에 뿌리 연계성 주목

  • 승인 2025-04-10 17:18
  • 수정 2025-04-10 17:48
  • 신문게재 2025-04-11 1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3667 수정
대전 중구 문화동 보문산에서 표층 밖으로 드러난 흑연 광맥과 검댕이 쉽게 묻는 돌멩이.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 보문산에서 일제강점기 흑연을 채굴하던 현장이 새롭게 확인됐다. 도로 하나 놓기도 어려운 시절 보문산 중턱까지 임도를 개척해 흑연을 채취하던 채석장으로 대전 최고(最古) 기업인 동아연필과의 연계성에 주목하고 있다.

10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중구 문화동 한밭도서관과 충남대병원 뒤편의 보문산 중턱에서 앞서 발견된 굴착 흔적은 지하자원의 하나인 흑연을 채굴하던 현장으로 확인됐다. 이곳은 1948년 촬영된 보문산 항공사진에서 산 중턱까지 차량이 오르내리는 도로가 확인되는 곳이다. 충남대병원 주변에 도로가 없을 때 채석 이뤄진 곳까지 임도가 먼저 개척돼 있었다. 지금도 현장에서는 바위를 차곡차곡 쌓아 만든 임도가 일부 구간에 남아 있으며 임도 끝 지점에 바위를 깨트리고 굴착한 흔적이 여럿 남아 있다. 또 언제 만든 것인지 예상할 수 없는 3개의 샘터가 있다. 주민들은 이곳이 흑연을 채굴하던 현장이라고 동일하게 증언했다. 60대 한 주민은 "여기서 태어나 한평생 사는 동안 마을 뒷산에서 흑연을 캤다는 이야기를 어른들에게 자주 들었고, 어렸을 때 거기 가서 놀면 검댕이가 손에 묻고 얼굴도 새까맣게 되곤 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80대 주민은 "예부터 이곳을 과례마을이라고 불렸고 지금은 빗물에 씻겨서 그렇지 옛날에는 뒷산 흙바닥이 새까맸는데 광복 후에도 한동안 일본인의 양철지붕 주택이 남아 있었다"라고 기억했다. 기자가 바닥에 떨어진 돌멩이를 주워 손을 비벼보니 검댕이가 짙게 묻었고, 흑연으로 보이는 폐석들이 이곳저곳에 남아 있었다. 일제강점기 금을 채굴하는 현장은 서구 도솔산과 중구 무수동에서 발견되고 석탄 탄광도 있었으나, 흑연 광산은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2024050101000082300003042
1948년 보문산 항공사진에 산 중턱까지 개척된 임도와 공사 이뤄진 모습이 보인다.  (사진=대전시청 공간정보포털)
특히, 대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품은 동아연필(주)이 삼성동에서 연필 생산을 시작하게 된 것도 보문산 흑연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동아연필은 일본 와세다대학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김정우(1916~2005) 창업자가 당초 이곳에서 운영되던 적산 대동아연필(주)를 불하받아 1946년 창업했다. 이상일 대전대 경제학과 교수의 '대전 지역기업의 형성 및 성장과정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김정우는 대전 산내 태생으로 1954년 동아학원(현 우송학원)을 설립하고 1961년 민선시장을 지냈다. 동아연필의 초대 대표이사는 그의 아버지인 진성(振聲) 김노원이 맡았는데, 김노원은 1919년 3월 16일 대전 인동시장 만세사건을 주도했던 인물이다.

다만, 적산 대동아연필이 언제부터 대전에서 연필을 생산했는지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대동아연필은 1944년 당시 신문에 제3회 결산공고를 냈고, 지금의 일본 미쓰비시연필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일 대전대 교수는 중도일보와 통화에서 "일제강점기 대전 주변에 가축이 많아서 대전피혁이 성장했고, 품질 좋은 콩이 생산돼 후지츄장유가 있었던 것처럼 동아연필의 전신인 적산 대동아연필 역시 원료자원이 주변에 있었기 때문에 대전에서 시작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라며 "대전에서 가장 오랜 역사가 있는 동아연필과 보문산의 흑연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봄직 하다"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월평동 회전교차로서 1m 깊이 싱크홀 발생
  2. 세종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세종 청소년들 마음 건강 지원
  3. 尹 파면 일주일만에 관저 퇴거… 대국민 사과 없이 사저행
  4. 세종도시교통공사-대전도시공사 손잡았다
  5. 초록우산 세종본부-세종시녹색어머니연합회, 업무협약 체결
  1. '제6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시상
  2. 아동권리 증진 및 나눔문화 확산 위한 업무협약
  3. 세종시 금남면 용포리, 세종시 3번째 치매안심마을 지정
  4. 대전성모병원 최은석 의무원장 복지부장관상
  5. 11일 충남서 잇달아 산불…"작은 불씨도 주의"

헤드라인 뉴스


보문산에 흑연 채석장 발견… 대전最古 동아연필 연계성 주목

보문산에 흑연 채석장 발견… 대전最古 동아연필 연계성 주목

대전 보문산에서 일제강점기 흑연을 채굴하던 현장이 새롭게 확인됐다. 도로 하나 놓기도 어려운 시절 보문산 중턱까지 임도를 개척해 흑연을 채취하던 채석장으로 대전 최고(最古) 기업인 동아연필과의 연계성에 주목하고 있다. 10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중구 문화동 한밭도서관과 충남대병원 뒤편의 보문산 중턱에서 앞서 발견된 굴착 흔적은 지하자원의 하나인 흑연을 채굴하던 현장으로 확인됐다. 이곳은 1948년 촬영된 보문산 항공사진에서 산 중턱까지 차량이 오르내리는 도로가 확인되는 곳이다. 충남대병원 주변에 도로가 없을 때 채석 이뤄진..

김종민 의원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 정당 모두 합의하자”
김종민 의원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 정당 모두 합의하자”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3선·세종시갑)이 10일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세종 설치는 정당 모두 합의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며 정당 간 합의를 통한 조속한 결정과 추진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 대통령은 당선 직후 인수위 없이 바로 집무를 시작한다”며 “용산은 국민이 불신하고 청와대는 국민 개방으로 갈 데가 없다.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할 것인지 정당 간 합의로 조속히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통령 따로, 공무원 따로, 제대로 국정 운영이 될 수 없다. 정부 장·차관과..

대전 어디 가지?…화려한 예술 전시·공연 풍부
대전 어디 가지?…화려한 예술 전시·공연 풍부

2025년 봄, 대전은 예술로 물들고 있다. 합창의 울림, 앙상블의 선율, 바이올린의 열정, 연극의 메시지, 서예의 향기가 여기 대전, 한 자리에 모인다. 따스한 봄에 펼쳐지는 예술의 향연은 대전의 심장을 뛰게 하고 우리의 영혼을 깨운다. 각 공연과 전시가 주는 특별한 매력을 통해 관객들은 새로운 감동과 사유의 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 대전의 공연과 전시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대전시립합창단 = 대전시립합창단 제170회 정기연주회 바흐 '요한 수난곡 Version Ⅱ'가 오는 4월 18일(금) 오후 7시 30분, 대전예술의전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

  • 유성구 장애인종합복지관 균열 발견…신속 안전조치 유성구 장애인종합복지관 균열 발견…신속 안전조치

  • ‘불꽃 튀는 열정으로’ ‘불꽃 튀는 열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