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산격청사 전경 |
집중안전점검은 재난 및 사고 발생 우려가 있거나, 국민적 관심이 높은 시설물에 대한 집중적인 안전점검을 통해 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굴·해소하고 국민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범정부적으로 하는 예방 활동이다.
2015년 처음 도입돼 정부 부처 및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공사·공단, 민간단체 등이 참여해 매년 시행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집중안전점검을 통해 307개소의 위험요인(현지시정 90개소, 경미한 보수·보강 213개소, 정밀안전진단 대상 4개소)을 찾아내어 개선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한 바 있다.
올해 중점 점검대상은 재난 관련 언론·주요사고 분석 및 제도적 취약성 등을 고려해 행정안전부에서 마련한 시설유형을 대상으로 다중이용업소, 자동차 정비소, 교량, 공사현장, 숙박시설, 전통시장, 요양시설, 공동주택 등 608개소가 각 시설물 관리 주체들에 의해 선정됐다.
608개소를 구체적으로 보면 ▲다중이용업소 114개소 ▲자동차 정비소 90개소 ▲교량 62개소 ▲공사현장 58개소 ▲숙박시설 56개소 ▲전통시장 47개소 ▲요양시설 47개소 ▲공동주택 37개소이다.
점검대상별 주관 기관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점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점검대상 선정부터 후속 조치까지 체계적으로 이력 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점검에는 시, 구·군의 안전관리자문단, 건축사·기술사 등 관련 분야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점검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드론, 비파괴 장비 등 점검 장비를 적극 활용하여 꼼꼼히 안전을 확인한다.
모든 점검 내용은 '행정안전부 집중안전점검 관리시스템'에 점검일, 점검반, 지적사항, 후속조치 사항 등을 입력하고, 점검 결과에 따라 보수보강 또는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한 시설에 대해서는 위험도 평가를 실시해 안전 위해요소가 해소될 때까지 지속적인 관리에 나선다.
조희동 도시안전과장은 "지속적인 안전점검을 통해 안전취약시설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발굴·조치하여 재난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안전한 생활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집중안전점검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대구=박노봉 기자 bundo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