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의회 전경 |
충남도의회 이종화 의원(홍성2·국민의힘)은 이날 도정질문을 통해 재외동포 이주 유치 사업이 단순한 상징적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철저한 준비와 실행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지난 1월 13일 미국 LA에서 충남도와 레드포인트 그룹이 체결한 '재외동포 은퇴자 이주 마을 조성' 업무협약의 의미를 언급하며, "충남이 해외 동포들에게 매력적인 정착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과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주 대상자의 국적과 생활 특성을 고려한 주거환경 조성, 의료·복지 기반 확충, 문화적 융합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며 "단순한 이주를 넘어, 삶의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내포신도시 공실 아파트 활용, 용봉산·수암산 일대 전원형·공동주택형 정착지 개발 등 1·2단계 추진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실질적 홍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도의 아동돌봄정책에서 제외된 아동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옥수 의원(서산1·국민의힘)은 "충남의 풀케어 돌봄정책이 출생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모든 아동을 책임지는 포괄적인 정책으로 발표됐지만, 정작 가족을 돌보는 아이들은 지원 대상에서 소외된 채 돌봄의 주체로 고단한 삶에 방치돼 있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충남 내 초등학생 중 약 1778명이 가족돌봄아동으로 추정될 뿐, 도 차원의 실태 파악이나 지원 정책이 전무하다"며 "국가사업인 일상돌봄사업마저 이들에게는 현실성이 떨어져 유명무실하다. 신청을 해야 지원이 가능해 어린 아동들이 접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지난해 충남도의회에서 제정된 '가족돌봄청소년 및 청년 지원 조례'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가족돌봄 아동·청소년을 지원할 전담부서를 지정하고, 실질적인 지원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교육과 관련해선 사교육비 급증과 공교육 신뢰 하락 등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주진하 의원(예산2·국민의힘)은 "충남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5만 9천 원, 전년 대비 사교육비 증가율은 16.6%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며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 없이 사교육 의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잦은 교육 정책 변경은 학생과 학부모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며 "특히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이후 제도에 대한 불확실성과 대학 입시 변화에 대한 부담으로 사교육 의존이 심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충남교육청이 공교육 신뢰 회복에 앞장서야 한다"며 "수업의 질 향상, 방과 후 프로그램 확대 등 실질적인 공교육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포=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