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진호 전라남도 기획조정실장이 8일 도청 브리핑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이정진 기자 |
윤진호 전라남도 기획조정실장이 8일 도청 브리핑실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발맞춰 각 정당 및 후보자에게 건의할 전남 미래발전 공약과제 75건을 발표했다.
전남도는 지역의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전남연구원, 각계 전문가 등과 함께 국가정책 반영을 위한 '전남 미래발전 중대형 프로젝트' 과제 발굴에 주력해 왔으며 최근 대통령 탄핵이 결정됨에 따라 이를 조기 대선 공약으로 전환했다.
전라남도가 제시한 대선 공약과제는 미래발전을 위해 최우선적으로 지역공약에 반영시킬 '핵심과제 20건'을 비롯해, 지역현안과 연계한 '분야별 지역발전 과제 35건', 국가 차원의 국정과제로 전국화할 필요가 있는 '제도개선 및 국정제안 과제 20건' 등 총 75건이다.
먼저 주요 핵심공약으로는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에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설립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 프로젝트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조선·해양 AI 초격차 자율제조특구 조성 ▲에너지 고속도로 기반 에너지 신도시 조성 ▲우주발사체 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 ▲무안국제공항 및 미래 100년 초광역 교통망 확충 ▲AI 첨단 농·축산업 융복합지구 및 K-GIM(김) 국가전략산업 클러스터 구축 남해안 글로벌 해양·관광·문화 거점 조성 등 전남 미래발전을 견인할 신성장 프로젝트와 초광역 SOC, 농어업, 관광·문화 등 분야를 망라한 최우선 과제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지난 3월 전남·광주·전북 등 호남권 3개 시도가 협약한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강화를 위한 사업도 포함되어 있다.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력계통 확보', 초광역 SOC 사업인 '호남권 메가시티 고속도로(고흥~세종), 서해안철도(군산~목포)' 등이 호남권 초광역 협력의 선도모델 사업으로 제시되었다.
20대 핵심과제 외에도 각 분야 전문가와 지역의 의견을 모아 지역발전을 견인할 사업들을 신성장동력, 핵심 SOC, 미래농어업, 관광·문화·휴양, 인구·복지 등 5개 분야별로 발굴, 분야별 지역발전 과제 35건을 별도로 제시했다.
신성장동력 분야에는 ▲미래항공모빌리티 연계 남부권 초광역 항공 인프라 구축 ▲글로벌 해저 환경 전력계통 개발 솔라시도 AI 자율제조 실증 허브 조성 등 9개 과제가 있으며 SOC 분야는 ▲여수국가산단 진입도로(이순신대교) 국가관리 지원 ▲스마트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 구축 ▲지방도 연륙·연도교(해상교량) 국비 지원 등 5개 과제가 제시됐다.
미래농어업 분야는 ▲K-wine(전통주) 산업 클러스터 조성 ▲해양수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기후변화 대응 저탄소 스마트 농업 인프라 확충 등 7개 과제이다.
관광·문화·휴양 분야는 ▲국가대표 제2선수촌 건립 ▲ 2031 국제 정원박람회 개최 ▲국립 고흥 다도해 산림치유원 조성 등 8개 과제가 포함됐으며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인구·복지 분야는 청년 특화구역 조성 ▲외국인 특화지역 조성 ▲국립청소년디딤센터 전남센터 건립 등 6개 과제이다.
특히, 전라남도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반드시 국가 차원의 국정 과제로 반영해야 할 정책공약으로 ▲국가 출생기본수당 신설 ▲농어민 공익수당 국가 정책화 ▲인구소멸지역 필수의료 기반 확충 ▲전남형 만원주택 전국 확대 ▲비수도권 지역 벤처기업 육성지원 특례 강화 식량안보 확보를 위한 산지 쌀값 안정화 ▲농업소득안정을 위한 기금 및 직불금 10조원 확대 등 제도개선 및 국정제안 과제 20건도 마련해 발표했다.
윤진호 전라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전남이 가진 비교우위 자원과 여건을 토대로 AI 등 급변하는 세계적 트렌드에 맞춰 전남발전에 꼭 필요한 중대형 프로젝트를 균형있게 발굴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 각 정당과 후보자를 상대로 공약과제를 건의하고, 대선공약으로 최종 반영되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무안=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