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한 제21대 대통령선거 날짜가 오는 6월 3일 치러질 것으로 잠정 확정된 7일 대전 대덕구 오정동에서 선관위 직원들이 투표함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이성희 기자] |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5월 12일부터 6월 2일까지다. 사전투표는 5월 29~30일 이틀간이다.
대선 분위기가 점차 고조되는 양상 속에 충청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우선 충청권 보수 진영에서 대권 주자가 나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 후보는 김태흠 충남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이다. 현재 두 사람은 충청의 정치 위상 강화와 지역발전을 목표로, 이번 대선 정국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고심 중이다.
이 시장은 8일 대전시 확대간부회의에서 "많은 의견을 청취해 열흘 안에 확답하겠다"고 밝혔고, 김 지사도 앞서 중도일보에 "고민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시선은 10일 예정된 충청권 시·도지사들의 조찬 모임으로 향한다. 조기 대선에서 충청 4개 시·도의 공동 대응 방향 외에도 대선 출마와 관련한 직접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기 때문이다. 실제 충청에서 대권 후보가 나온 뒤 그를 중심으로 지역의 표심이 결집한다면 지금의 대선판을 뒤흔들 가능성이 크다.
지역 주요 현안도 대선 정국 이슈로 떠오르는 중이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 대표적 사안이다.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신행정수도법 발의를 준비 중인데,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대표의 의지가 담겼다고 전해져 지역에선 어느 때보다 기대감이 높다.
민주당 대권 후보로 거론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이광재 전 강원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도 개헌과 행정수도 세종 이전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민의힘에선 대권 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의원이 개헌을 통한 행정수도 완성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문제는 현 분위기를 어떻게 이어가느냐다. 조기 대선판을 충청의 이익 극대화와 결집을 위한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는 대명제 아래 지역 정치권은 물론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단 얘기다. 대선 과정을 거치면서 지역 현안들의 추진 여부는 물론 주요 인사들의 영향력 증대 등 지역이 얻을 수 있는 유무형의 효과는 크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조기 대선을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충청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로 삼는 접근법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단순히 당선이란 목적에서 벗어나 대선 과정에서 지역의 이익을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