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소벤처기업부가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 15개 관세 애로신고센터를 가동한 지 50일째를 맞았다.이 기간 대전·세종·충남지역에서는 총 14건의 신고가 접수됐으며, 직접적인 피해 없이 대부분 기업들이 우려감만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관세애로신고서. /중기부 제공 |
8일 대전·세종중기청 및 충남중기청 등에 따르면, 중기부 방침에 따라 대전·세종중기청과 충남중기청 내에 마련된 수출지원센터에서 지역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피해사례 등 관세 애로신고를 상시 접수하고 있다. 자본금이 탄탄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과 달리 중소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할 여력이 없어서다. 관세 애로신고를 할 경우, 유관기관과 수출 지원정책 안내를 통한 기업별 맞춤형 상담은 물론 관세 분쟁을 해결을 돕는 수출 바로 프로그램 등이 지원된다.
지난 50여 일간 운영한 결과, 지역에서는 대전·세종 수출지원센터와 충남 수출지원센터에 각각 7건씩 애로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집계됐다. 다행히 거래처(미국 현지 포함)에서 수량을 줄이거나 가격을 낮추는 등의 직접적인 피해 사례는 전무했다.
문제는 수출기업 수 대비 신고접수 건수가 저조하다는 것이다.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본부에 따르면, 지역에는 총 4600여 개 수출기업이 존재하며, 여기에 완성품 기업에 부품을 납품하는 소규모 중소업체까지 포함할 경우 수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부과가 이미 시작된 데다, 50일간 애로센터를 운영해온 것을 감안했을 때 저조한 운영 실적이다. 이 때문에 정책 홍보가 부족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대전세종 및 충남중기청은 실제 관세가 부과된 철강·알루미늄 관련 지역 업체는 극소수인 데다, 기업별로 현지공장 설립 등 자구책을 마련한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면서 9일 상호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되면 피해 신고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역 수출기업들은 실제 '관세폭탄'이 떨어질지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 내 소비자물가가 급격히 오르고 증시가 폭락하면서 시민들의 반(反)트럼프 시위가 현지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어서다.
김왕환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기업협의회장은 "지역기업들 대부분이 미국의 상호관세가 현실로 다가올지 아닐지 몰라, 적극적으로 애로신고를 안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상호관세가 시행된다면 피해사례와 문제점들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세종 및 충남중기청 관계자는 "현재까지 피해기업이 없었지만, 앞으로도 지역 중소기업들에 대한 모니터링은 계속할 예정"이라면서 "미국 현지 바이어는 물론 원청으로 두고 있는 국내 대기업이 납품가격을 조정한다거나 수량을 줄인다면 관세 피해로 신고가 가능하다"며 중소기업들의 많은 참여를 당부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