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우리는 혼자 사는 것이 아니다, 지역 대학 벚꽃의 의미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우리는 혼자 사는 것이 아니다, 지역 대학 벚꽃의 의미

이정화 대전보건대학교 총장

  • 승인 2025-04-08 10:29
  • 신문게재 2025-04-09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이정화 총장
이정화 대전보건대학교 총장
우리나라의 24절기 중 청명(淸明). 봄의 시기로 대학가에는 벚꽃들이 만개하는 아름다운 계절이다. 많은 대학의 캠퍼스에는 삼삼오오 푸른 잔디밭에 앉아 따사로운 햇살을 받은 학생들의 웃음소리가 도란도란 흘러나오지만, 교직원들의 얼굴에는 한층 격상된 표정들이 번져 나온다. 그 이유는 3월과 4월에 진행되고 있는 다수의 사업 제안서들의 제출 마감일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대학 내 교직원들은 무한 경쟁의 시대에 학생들에게 최신, 그리고 최고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항시 고민하고 있으며, 정부 지원사업을 비롯해 각종 사업에 혼신을 기울여 지원하고 밤샘작업도 마다하지 않으며 더 좋은 제안서를 작성하기 위해 끊임없는 릴레이 마라톤도 이어가고 있다.

'벚꽃이 지는 순서대로 지역 대학의 존속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라는 말은 이미 10년 전부터 인구 소멸 위기와 함께 대학가에 퍼진 악성 바이러스 같은 존재다. 이 악성 바이러스는 남쪽 지방 도시에서부터 시작돼 서서히 북쪽으로 올라오고 있으며, 이젠 우리의 일상으로 스며들면서 그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교육의 방식은 더욱 다양해지면서 대학가의 분위기는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받아들임의 경계를 낮추고, 서로 융합하며 '이음'해 나가려는 마음이 만개하는 벚꽃처럼 널리 퍼져가고 있다.

며칠 전, 캠퍼스를 걷다 수업을 마치고 천천히 걸어가는 학생들을 보았다. 혼자 걷는 이, 친구와 웃는 이, 벤치에 앉아 쉬는 이들이 눈에 들어왔다. 그 모습을 바라보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지금 저 아이들은 어디로, 얼마나 빨리 가고 싶은 걸까?'



우리는 어릴 때부터 빠르게 움직이도록 훈련받아 왔다. 빨리 배우고, 빨리 해내고, 빨리 성공해야 칭찬을 받는 강박감 속에서 살아온 게 현실이다. 대학에 와서도 그 강박감은 계속된다. 재학 중에는 학점과 스펙을 쌓아야 하고, 졸업을 앞둔 시점에는 취업과 미래에 대한 걱정들이 이어진다. 그 모든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면 남들보다 늦는 것 같고 뒤처지는 것 같다는 생각 때문에 마음은 조금해지고 불안감은 커진다.

하지만, 조금 느리게 가도 괜찮다. 살아보니 인생은 속도보다 방향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모두가 같은 길, 같은 속도로 가는 것은 아니다. 잠시 멈추어 서도, 천천히 가도, 자신만의 리듬으로 걸음을 계속 걸어가다보면 결국 목적지에 도착하게 되어 있다.

대학은 그런 여유를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비교하지 않아도 되는 곳, 실패해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곳, 정답보다는 '나답게' 사는 길을 고민해볼 수 있는 곳. 이 같은 시간이 누군가에게는 진정한 성장으로 이어진다.

나는 학생들에게 종종 이렇게 이야기하곤 한다.

'뒤처지는 게 아니라, 너만의 리듬으로 걷고 있는 거야.'

모두가 자기 속도로 살아가야 하며, 그 속도가 조금 느리더라도 그 길이 자신의 길이라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지금 이 글을 읽는 누군가에게 조용히 전한다.

지금 속도, 괜찮다. 너만의 걸음으로, 천천히 가도 괜찮다.

벚나무의 꽃이 피고 져서 떨어져 없어지는 것이 아닌, 아악무(분홍색의 새순이 마치 꽃처럼 자라면서 초록색의 잎사귀가 되어 나뭇가지로 뻗어나가는 나무)의 잎사귀처럼 꽃이 핀 후 잎으로 다시금 푸르름을 선사해주는 벚꽃나무의 싱그러움이 많은 이들의 가슴속에서 무한한 긍정적 아름다움을 퍼트려주길 기대한다. /이정화 대전보건대학교 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3.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4.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5.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1.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2.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3.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4.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5. [S석 한컷]두 말 필요없는 완벽한 패배 K리그1 7R 대전 VS 전북

헤드라인 뉴스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졸속 추진정책 바로잡아야”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졸속 추진정책 바로잡아야”

윤석열 정권이 교육개혁을 목표로 추진한 교육정책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추진 과정에서 논란을 빚은 AIDT(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 유보통합, 늘봄학교 등 정책이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내실있게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7일 교육계에 따르면 조기 대선 이후의 교육정책 변화 가능성을 예의주시하는 상황으로, 지역 교원단체는 이 기회에 졸속 추진된 정책을 바로잡고 현장의견을 반영 보완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윤경 대전교사노동조합(대전교사노조) 위원장은 "지금 시점에 현 정부의 주요 교육 정책이 어떤 식으로 바뀔 것인지 전망하기에는 다..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

  •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