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8일 시에 따르면 이번 대책은 △자금 지원 확대 △소비 활성화 △동백전 캐시백 확대 △소상공인 지원 확대 △폐업 소상공인 고용 전환 촉진 △전통시장 활성화 등 총 4688억원 규모, 14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먼저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성장 촉진을 위해 보증 재원을 출연,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카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4만명에게 2000억원 규모로 최대 500만원의 운영비 전용 자금 카드를 이자(최대 6개월), 연회비, 보증료 없이 지원한다.
소상공인의 금융비용 부담 경감을 위해 이차보전을 확대해 2325억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 지원하고, 부산신용보증재단 출연을 확대해 소상공인 보증 지원을 강화한다.
지역 상권의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지원하기 위해 부산세일페스타, 전통시장 판매촉진 지원사업, 전통시장 소비 진작 환급 사업을 추진된다.
골목상권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동백전 캐시백 한도를 확대하는 정책을 올 6월까지 연장해 시행한다. 이에 따라 월 캐시백 한도 금액이 30만원에서 50만원으로 확대되고 캐시백율도 5%에서 5~7%로 증가한다.
경영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 대상으로 '소상공인 경영개선 토탈패키지 지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한다. 재기 의지가 있는 경영 위기 소상공인 200개 사를 선정하고 1개 사당 400만원 상당의 성공경영 상담, 경영개선 사업자금 지원, 금융비용 지원 등 경영개선패키지를 동시에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폐업 소상공인이 취업에 성공할 경우,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되는 '희망 두 배 통장 사업'을 시행하고, 폐업 소상공인을 채용한 고용주에게는 고용인센티브를 지원한다. 폐업 소상공인 직업훈련 참여자에게는 직업훈련 수당을 기존 30만원에서 60만원으로 확대 지급한다.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사업, 디지털 전통시장 육성 사업, 첫걸음 기반 조성 사업 등으로 전통시장의 도약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인구 감소 지역인 영도구를 대상으로 커피산업 전주기 데이터분석 기술지원, 사업화 지원 등 고부가가치 커피산업을 육성하는 '커피산업 생태계 연구개발(R&D) 클러스트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사회적기업의 브랜드, 기술 개발, 품질 개선, 홍보·마케팅 등 사업개발비를 지원하는 '사회적 경제 기업 사업개발비 지원 사업(2억)'도 추진한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 대책은 내수 부진과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것으로 상반기 내 예산을 투입해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