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계 "尹 탄핵 결정은 사필귀정" 정상화 요구 잇달아

  • 경제/과학
  • 대덕특구

과기계 "尹 탄핵 결정은 사필귀정" 정상화 요구 잇달아

  • 승인 2025-04-07 17:38
  • 신문게재 2025-04-08 6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407165326
과기계 종사자들이 대덕특구 50주년 기념행사가 진행된 2023년 11월 2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전 본원 맞은편에서 R&D 삭감에 반대하는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중도일보DB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가운데 2023년 예산 삭감 파동 이후 회복되지 않은 연구현장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과학기술계 단체와 노조는 7일 연구현장 정상화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연달아 발표했다.

연구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사)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이하 연총)는 이날 오전 '파면 그리고 새로운 시작'이라는 입장문을 통해 윤석열 파면 관련 목소리를 냈다.

연총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은 어쩌면 2023년 이미 예견돼 있었던 것 같다"며 "그동안 묵묵히 연구현장에서 일해 온 과학기술인들이 예산 삭감에 대한 반대와 우려의 목소리를 냈으나 그 목소리를 묵살했다"고 지적했다.



2023년 일어난 R&D 삭감 파동 당시 연총을 비롯한 과학기술계 각 노조는 연대단체를 결성해 대응했다. 그러나 예산은 삭감됐고 연구현장이 느끼는 피해는 막심했다.

연총은 "지난 12월 3일 반헌법적인 계엄 선포로 헌법재판소에 의해 윤석열 대통령은 파면됐지만 과학기술 전반에 끼친 피해는 아직 회복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4월 4일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고 하는 청명이었다"며 "우리는 이번 파면이 끝이 아니라 국가 과학기술의 새로운 봄을 준비하는 시작이 되길 염원한다. 과학은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 위에서 꽃필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전년도 삭감됐던 R&D 예산이 일부 복원됐지만 연구현장은 여전히 이전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윤석열 파면과 함께 연구자들이 연구현장 정상화를 촉구하는 이유다.

과학기술계 노조인 전국과학기술연구전문노동조합(과기연전)은 이날 성명을 내고 "대통령 윤석열 파면 결정은 사필귀정, R&D 내란을 즉각 멈추고 정상화하라"고 촉구했다.

과기연전은 망가진 연구현장의 모습을 지목하며 R&D를 망치려는 내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기연전은 "(윤석열 정부는) 우리의 미래인 국가 R&D 구조와 연구현장을 파괴하고 말살했다"며 "능력도 실력도 없고 R&D에 대한 철학과 정책 비전도 없는, 탐욕과 사리사욕으로 가득 찬 D급, 폐급인 자를 기관장, 감사 등 주요 요직에 꽂아 놓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낮은 외유성 출장, 연구자들을 향한 표적감사, 기관장 퇴직금을 3배까지 지급하는 등 사실상 대한민국의 R&D를 망치려는 내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현장 정상화를 위해 본연의 임무와 역할이 무엇인지 깨달아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과기연전은 "윤석열 정부가 지체하고 망쳐놓은 R&D를 다시 회복하는 데 얼마나 많은 비용과 대가를 치러야 할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라며 "R&D 관련 정부의 주요 부처와 기관장, 감사 등 책임 있는 자들에게 엄중히 경고한다. 내란 우두머리의 대통령직 파면과 재판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尹파면] 6월 3일 '장미대선' 유력... 정치권 움직임 분주
  2. [尹파면] 막 오른 조기대선, 충청 현안 공약화 '발등의 불'
  3. [尹파면] 개헌론 대선링 흔드나 … 행정수도 개헌 시대적 사명
  4. [尹파면] 전원일치 인용에 충청 시도지사 "존중"
  5. "이제는 안정과 화합이다" 지역민 목소리
  1. [尹파면] 조기대선 레이스 진보 이재명 보수 김문수 선두
  2. 대전 문평동 폐기물처리업체 화재…초진 완료 후 잔불 정리 중 (종합)
  3. [尹파면] 조기대선 민주-국힘 사생결단 총력전 … 중도층 향배 최대 관건
  4. [尹파면] 헌재 '헌법정신' 전면부각 국민통합 메시지
  5. [尹파면] 대전 진보 자치구의장들 "민주주의 회복, 일상 회복 전념해야"

헤드라인 뉴스


`행정수도 완성` 대선정국 요동… 충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을

'행정수도 완성' 대선정국 요동… 충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을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 조기 대선 정국 초반을 뒤흔들면서 충청의 정국 주도론이 주목받고 있다. 1987 체제 극복을 위한 개헌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된 데다, 대권 주자들도 행정수도 이전에 공감하는 만큼 이번 대선 정국에서 충청의 적극적인 역할로 '중도(中都)의 꿈'을 실현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최근 행정수도 개헌은 조기 대선 정국과 맞물려 동력이 되살아나고 있다. 그동안 지역과 일부 인사들을 중심으로 요구가 이어졌지만, 현실적으로 추진되진 못했다. 하지만 상황이 급변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대내외 악재' 국내 고용시장 위기감… 3월 고용보험 가입자 역대 최저 증가

미국발 관세 쇼크 등 대내외 악재로 국내 고용시장의 위기감이 감돈다.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 증가 폭이 역대 3월 기준으로 2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면서다. 특히 오랜 기간 침체를 겪고 있는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보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43만 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 4000명(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199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3월 기준으로 가장 낮..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정치권, 줄줄이 대선 출마 선언… 국힘은 이미 선관위까지 구성

윤석열 파면 후 첫 월요일, 주요 인사들이 줄줄이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조기 대선이 달아오르고 있다. 국민의힘이 거센 책임론에도 가장 먼저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완료하자, 더불어민주당은 “염치가 있다면 대선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두관(66) 전 국회의원은 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파면으로 혹독한 내란의 겨울이 끝났다. 제7 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진보 진영 대권 주자 중에서는 첫 출마다. 김 전 의원은 "김두관 정부는 국가 경제의 수도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

  •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꼼꼼한 관리로 건강을 지켜요’

  •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 제21회 예산 윤봉길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봄을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