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사유가 확정되면, 즉 대통령이 궐위되면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는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근거한 것이다. 반탄(탄핵반대)파와 찬탄(탄핵찬성)파 또는 특정인 저지나 반대 등 네거티브가 선거판을 휘저을 동력이 되면 곤란하다. 걱정했던 것과는 달리 민주주의를 교과서적으로 전 세계에 보여주며 대혼란을 피한 국민 뜻을 왜곡하지 말아야 한다. 내란 종식을 넘어 이념·계층·세대·지역으로 찢어진 한국 사회를 대통합의 광장으로 이끌 지도자가 꼭 필요하다.
리더십의 꼭짓점에 있는 대통령이 외교·안보 식견과 경제·통상 이슈에도 밝아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구다. 민주주의와 지방분권에 대한 신념도 확고해야 한다. 법이 규정하는 선거일은 5월 24일부터 6월 3일 사이다. '꽉 채운' 최종일을 고른 것은 자격과 역할에 충만한 지도자를 분별해낼 시간이 크게 부족하다는 의미도 된다. 정직과 도덕성을 겸비한 지도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뼈저린 선행학습을 했다. 5월 11일 시작되는 후보자 등록부터의 시간이 촉박하나 졸속은 안 된다.
예기치 않은 대선이라 각 당 경선 기간도 짧다. 선거일까지 권력공백 상태와 겹친다. 짧지만 행정부가 실속 있는 선거 준비로 유권자와 피선거권자 참정권을 보장해야 함은 물론이다. 인수위원회도, '대통령 과외' 시간도 없는 최단기전이다. 대선은 스테이트크래프트(Statecraft), 즉 국가통치술을 겸비한 좋은 대통령을 만드는 축제 같은 과정이어야 한다. 한낱 권력쟁탈전이 아니다. 자질과 역량은 그대로 당선 이후의 통치력이다. 탄핵 사태를 또 겪고도 이 사실을 잊으면 미래는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