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청사 전경.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후 며칠이 지나지 않은 시점이지만 이미 정책 공약 사업을 내거는 등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대전시 역시 그간 공들여왔던 사업들의 유지 여부가 갈릴 수 있는 만큼 지역 현안들의 대선 공약화가 절실하다 보니 총력전을 다짐하고 있다.
7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 현안의 대선 공약화를 시작으로 국정과제 반영, 국가 계획으로 이어지는 '국정과제 반영 로드맵'을 본격 가동했다.
시는 윤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추진 됐던 지역 주요 정책들이 차기 기조에 따라 백지화 혹시 유지 여부가 갈릴 수 있어 지역 핵심 현안이 실현되도록 전략적인 공약화 발굴에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특히, 대선 후보들이 내놓을 지역 공약이 차기 정부 국정 과제에 반영될 가능성이 크고, 그렇게 되면 중앙부처와의 협의 시 당위성 확보가 쉬워 추진 동력을 얻을 수 있다.
현재 시는 호국보훈파크와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충청권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제2 대덕연구단지 조성 등 수년째 가시화되지 않은 사업들을 포함해 대선 공약을 발굴할 계획이다.
다만, 아직 대선에 대비한 공약 발굴부터 채택 초기 단계다 보니 이미 발표까지 마친 타 지역보다 늦은 상황이다 보니 조속한 움직임이 주문된다.
이미 전북특별자치도는 이날 9개 분야, 74개 전략사업으로 구성된 '전북 메가 비전 프로젝트' 발굴 결과를 발표했다. 사업비만 65조 2718억 원에 달하며 전북도는 각 정당과 대선 후보 캠프에 결과를 전달할 예정이다.
광주시도 주중 여야 후보에 제시할 공약을 공개, 경남도 역시 실·국별 요구사항을 이번 주 내 취합해 도지사 검토를 거쳐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도 대선 공약 반영 과제 발굴에 들어갔으며 충북과 강원도 지역 현안 사업 마련하고 조만간 공약을 확정해 정당에 전달할 전망이다.
현재 조기대선이 불과 두 달가량 남은 시점에 대전시는 새 공약 마련이 당장 시급한 과제다.
시간에 쫓겨 졸속 추진이 있어서는 안 되겠지만, 임박한 대선 시계를 고려해 공약 논의를 빠르게 마무리 지어야 한다. 특히, 대통령 파면으로 지역에 펼쳐졌던 주요 정부 사업들의 차질이 불가피하다 보니 이에 대응하기 위해 촘촘한 전략이 세워져야 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역 경제 발전과 숙원 사업을 해결하기 위한 사업들이 무엇인지 각 실·국을 대상으로 취합 단계를 거칠 예정이다"라며 "최대한 빠르고 세밀하게 정리해 이달 중 대선 후보자와 각 정당에 전달할 공약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