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월 1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사진=부동산r114 제공. |
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3% 상승했다. 이 중 세종은 0.25% 오르면서 전국에서 가장 큰 오름폭을 기록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및 재지정 여파로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0.21%)보다도 0.04%포인트 높은 수치다.
이는 4일 윤 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오름폭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3월 한 달간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66%로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다. 앞서 하락세가 꾸준했던 만큼, 이번 반등이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하락률이 가장 높았던 세종시가 탄핵 인용과 맞물려 전국에서 가장 큰 오름폭을 그린 이유로는 행정수도 완전 이전에 따른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국회의사당 분원과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부지가 확보된 데다, 국가균형발전의 명분과도 맞아떨어져 조기 대선 후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다.
이뿐 아니라 이미 아파트값이 바닥이라는 인식도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세종은 탄핵 인용 전인 3월까지 하락세를 겪었다. 누적 하락률은 1.03%로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내려갔다.
이는 '저점'이라는 인식과 맞물려 거래량은 늘었다. 부동산실거래가 분석 사이트 아실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거래량은 1월 298건, 2월 372건, 3월 684건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4월엔 이날 현재 36건의 거래가 이뤄졌다.
이뿐 아니라 서울 토허제 여파에 따라 지방에 대한 수요 가능성이 점쳐졌는데, 이 효과가 세종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세종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세종시가 완전한 행정수도로 거듭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어 전국 이곳저곳에서 문의를 받고 있다"며 "탄핵 전부터 이미 세종이 저점이라는 판단 하에 꾸준히 거래가 늘었는데, 이번 기대감으로 시장 분위기가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상승세를 보이는 분위기는 맞지만, 조기 대선과 부동산 정책 등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정책 방향성 등 윤곽이 나오기 전까진 제한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돼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