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생활과 밀접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에 대해 관련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환율·인건비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정부로부터 물가 안정에 적극 협조해 달라는 압박으로 가격 인상을 자제해 왔으나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는 주장이다.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인상에 최근 발생한 영남권 산불로 인해 직간접 피해를 입은 농산물 가격 상승도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체 4년제 대학의 70%에 육박하는 131개교가 올해 1학기 등록금을 인상한 것도 소비자물가지수를 끌어올리는 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금을 올린 대학의 인상률은 4.0~5.4%로, 3월 교육 물가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다. 정부의 동결 기조가 17년째 이어지면서 재정 위기에 직면한 대학들의 등록금 인상은 불가피한 점이 없지 않다. 하지만 교육 물가 상승이 전체 소비자 물가를 자극하고 있는 것은 우려할 만하다.
미국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경기 침체를 유발하고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올해 2%대를 유지하고 있는 물가상승률은 보편관세와 상호관세 등이 모두 유지될 경우 5%대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현실은 어느 것 하나 안심할 구석이 없다. 안정적인 물가 관리 만큼 중요한 것도 없다. 조기 대선에 모든 관심이 쏠려 있지만, 정부는 서민 경제의 핵심인 물가 관리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