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명준 센터장 |
결론부터 말하자면 4월 11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이다. 1919년 4월 11일 상하이에서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하고, 임시정부를 수립했으니 올해로 106주년을 맞는다. 3·1운동의 열기가 한반도 전역을 휩쓸었을 때,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국내·외 독립운동을 주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조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라는 어둠 속에서 독립운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자유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것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첫째, 임시정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였다.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임을 표방한다. 이는 임시정부 수립 이전의 전제군주제를 탈피하고, 국가의 의사를 결정하는 주권(主權)이 국민에게 있음을 천명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둘째, 임시정부는 항일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국내·외 독립운동 세력을 하나로 통합하고 우리 국민을 대표하는 정부로 온전히 기능한 것이다. 임시정부는 27년간 행정, 군사, 교육, 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체계적으로 치열하게 광복 투쟁을 이끌었고, 그 결과 우리는 국제사회에서 독립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임시정부는 현재 대한민국 정부의 정통성을 이어주는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했다. 현행 헌법 전문에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대한민국이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명백히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인 4월 11일은 단순히 과거의 역사를 기억하는 날이 아닌, 현재를 사는 우리가 미래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날이기도 하다.
대전지방보훈청은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보훈의 가치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보훈문화 조성사업을 대대적으로 실시하고, '일상 속 살아있는 모두의 보훈'을 추진하며 보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문화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대전지방보훈청은 오늘의 대한민국을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되돌아볼 수 있도록 보훈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것이다.
/양명준 대전지방보훈청 제대군인지원센터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