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은석 건양대 교수 |
하지만 올 3월, 산불로 안타깝게 26명이 사망하고 6만 헥타르산림과 수천 가구 전소 등 피해가 어느 때보다 참혹했다. 매서운 화마에서 목숨을 건진 이재민은 몸서리 치고 있다. 소중한 나무가 잿더미가 되고 한마을이 송두리째 사라져 원상회복에는 백 여년의 세월이 필요 하다니 안타깝다. 각계의 성금과 특별 재난 구역, 긴급 추경편성 등 적극 지원하여 가족과 집,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이 조속히 회복되기를 기원한다. 이번 대형산불은 입산자의 사소한 부주의와 고온 건조한 강한 바람이 광범위 대규모 산불로 번졌다지만, 울창했던 산림에는 임도가 부족했고 벌채 등 숲 가꾸기가 안되어 낙엽이 수십 센티 이상 쌓여 불쏘시개가 되었다고 한다. 1980년부터 농가의 난방이 기름보일러로 교체되면서 나무를 땔감으로 쓰지 않아 산속에 부산물이 계속 쌓이게 되어 사람 접근도 어려웠다고 한다 특히, 한국의 나무인 소나무 등 침엽수가 불쏘시개가 되어 많이 소사되었다고 한다.
매년 지구온난화는 가속되고 태풍과 돌풍, 폭우와 가뭄 등 급변하는 이상기후는 언제든지 산불을 불러온다. 공기를 맑게 하고 탄소를 억제하며 삶의 활력을 주는 울창한 산림이 이제는 거센 산불이 되어 일상을 위협하고 생명을 앗아갈 수 있다. 앞으로 소중한 나무를 산불에서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숲을 가꿀 것인가?
첫째, 전국의 임도 개설을 적극 추진해서 산림자원을 활용하고 산불에 소방차와 인력이 신속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번 재난에 장비와 인력이 부족하고 접근하기 어려워 헬기에 의존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둘째, 이번에도 성묘객의 부주의가 화재의 원인이었는데 입산자가 조심해야 하지만 산지 곳곳에 묘지관리를 납골당, 수목장활용으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산림 부산물을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나무와 부산물로 석탄을 대체하는 화력 발전소를 운영한다든지, 지역 난방시스템도 나무를 활용하도록 하며 이들 업체가 활성화 되어 나무가 자원으로 쓰이도록 강구해야 한다. 그나마 좁은 땅인 전 국토의 70%에 이르는 산지 자원을 활용 해야한다. 넷째, 산림법 등 나무를 무단 벌채하면 처벌받는데 사유림에도 각종 규제가 많다. 나무는 심고 가꾸고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 안전하고 쾌적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전국 산림의 67%가 사유지라 경제성이 없어 보존이라는 명목으로 울창하게 방치된 곳이 많았다 이제 산림은 자연 그대로가 아니라 모든 산림은 관리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다섯째, 산지를 밤나무, 호두, 잣, 감나무 식재 등 지역별로 특색에 맞는 임업정책도 필요하다. 사유지에 대한 규제를 없애 골프장, 산삼단지, 표고, 송이 산지 등 장려하고 지역별 산불 예방과 촘촘한 현장 진화 능력도 보강해야 한다.
이번 산불 진화에 순직하시고 희생되신 모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조속한 피해 회복을 기원드린다. 이제 산불은 더욱 우리 일상을 위협할 수 있어 산림으로 수익 창출도 하면서 산불 등 모든 위협으로부터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