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공공기관 선진화 방안 및 평가

  • 사람들
  • 뉴스

[독자칼럼]공공기관 선진화 방안 및 평가

이진원(국제종합비즈니스거래원(주)대표이사 회장)

  • 승인 2025-04-06 22:24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2025030501000228300008421
공공기관은 정부의 투자·출자 또는 재정지원으로 설립·운영되며, 기획재정부 장관이 매년 지정하는 기관이다. 공공기관 알리오에 2024년 기준으로 지정된 공공기관은 총 327개이다. 공기업은 32개, 준정부기관 55개, 기타 공공기관 240개 포함하여 320개이다.

공공기관의 임명 절차는 기관의 종류(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와 임원의 직급(기관장, 감사, 이사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임명 절차는 다음과 같다.

기관장(사장, 원장 등) 및 감사 임명 절차는 정부 또는 기관의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에서 후보자 공모를 통하여 일정 요건을 갖춘 후보자들을 심사하여 추천한다.

임명 제청 및 심사는 기획재정부(또는 해당 주무 부처) 장관이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에게 후보자를 제청하여, 대통령이나 주무부처 장관이 임명한다.



상기 절차는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역대 정권에서 정권창출에 기여한 인사를 배려하여 대통령실(청와대)에서 임명한다.

또한 각 부처 2급 이상 퇴직 공무원들을 각 부처 장관은 대통령실(청와대)을 통하여 기획재정부 공공국장이 운영하는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통해 보은인사로 기관장이나 감사로 임명한다.

공공기관 평가 종류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장 일반적인 평가는 경영평가 기획재정부 공공정책국(국장) 주도로 이루어진다. 공공기관 평가 대상은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이다.

공공기관의 평가 목적은 기관의 경영성과를 평가하여 보완 및 개선이며, 평가 결과는 기관장의 연임 및 성과급 지급 등에 반영된다.

그리고 기타 평가는 사회적 가치 평가, 즉 윤리경영, 일자리 창출, 안전관리, 환경 보호, ESG 경영 등 공공성이 강화된 요소 평가가 추가된다. 그리고 고객 만족도 조사는 기관의 대국민 서비스 품질을 측정한다.

정책 수행 평가는 특정 공공정책은 에너지 정책, 중소기업 지원 ,CSR,동반성장 등이다.

경영평가 기준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평가기준은 기관별 특성에 따라 정량지표(수치 기반 성과)와 정성지표(운영 방식, 정책 기여도)를 조합하여 진행된다.

정량평가 항목 (객관적 수치 기반)은 다음과 같다.

재무 건전성 ,사업 수행성과, 고객 만족도, 정성평가 항목, 기관 운영의 투명성 및 윤리성,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제 기여도, 혁신 및 연구개발(R&D) 노력이다.

평가 방식은 매년 기획재정부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서면 평가, 현장 실사, 기관 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점수 부여하여, S~E등급 (S: 우수, A: 양호, B: 보통, C: 미흡, D: 매우 미흡, E: 실패)로 평가로 평가하며, 미흡 기관은 기관 구조 조정 또는 심각한 경우 폐지를 검토한다.

또한 특별한 비위 사실이 없으면 임기(2년,3년)를 보장 받는다.

공공기관 전체 자산규모는 1,096.3조 원(2023년 기준)이다

대한민국 정부 예산은 638.7276조 원이다. 공공기관의 전체 임직원수는 46만 7585명(2023년 기준)이다.

이진원(국제종합비즈니스거래원(주)대표이사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3.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4.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5.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1.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2.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3.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4.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5. [S석 한컷]두 말 필요없는 완벽한 패배 K리그1 7R 대전 VS 전북

헤드라인 뉴스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6·3 조기대선 정국 초반, 충청발(發) 매머드 이슈가 잇따라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선링을 흔들고 있다.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