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기반 정당이 없다고 정당들의 당리당략에 휘둘려선 안 된다. 문재인 정부 때 미뤄진 대전·충남 혁신도시를 비롯한 상당수 정책이 추진 동력을 상실해 기약 없이 다음 정부로 넘어가게 됐다. 지역 경제계가 바라는 내수 활성화 지원, 안정된 기업 환경 조성 등은 지금 할 수 있고 뒤로 미루지 않아야 할 사안이다. 지역 스스로는 국가경쟁력이 흔들리지 않게 중심 잡는 데 절대 지분이 있다. 그런 원심력과 구심력을 실제로 갖도록 꼼꼼히 챙겨야 한다.
놓쳐버린 공약에 대한 허탈감 대신, '포스트 파면'에 시선을 옮겨 신성장동력을 찾아야 할 것이다. 지역전략사업인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 충청권광역급행철도(CTX) 등 교통망 구축, 표류만 거듭한 대전교도소 이전과 충남의 보령-대전 고속도로, 보령항 해상풍력 배후항만 사업 등의 국가계획 반영이 절실하다. 세종시의 경우, 행정수도 완성이 절체절명의 과제다. 미완의 공약 실행력도 담보할 일이다. 충북은 청주국제공항 민간 항공기 전용 활주로 신설,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관련 난제를 풀어야 한다. 속도감 있는 추진 근거를 위해 정치와 행정이 엇박자가 없어야 할 시기다.
대선 과정에선 헌재의 관습헌법 허구성을 뒤집는 세종시=행정수도 개헌의 디딤돌도 놓아야 한다. 급물살을 타는 용산 대통령실의 재이전 문제는 대선 주자라면 반드시 천명할 입장이다. 1987년 헌법 체제를 극복하는 권력구조 개편과 함께 지방분권국가로 진입해야 한다. 국민적 관심은 대선으로 빠르게 넘어간다. 운명의 60일, '장미대선' 향방에 따라 충청권의 정치력 역시 다시 한번 좌우될 것 같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