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들어 충청지역에선 4일 천안 산란계 농장에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후 벌써 세 번째다. 중수본은 AI 확산 방지를 위해 아산과 청주 방역지역 내 69곳의 가금 농장에 대해 차량 출입 등 정밀 조사에 나섰다. 문제는 중수본이 위기경보 심각 단계로 정한 충남·충북·세종 등 7개 시·도에서 고병원성 AI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가금농장과 축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축산시설 소독 강화 등 행정명령에도 확산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최근 포유류의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사실이 잇따라 보고 되면서 세계 보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미국 농무부 자료 등에 따르면 2016~2025년 50여 종의 포유류가 AI에 감염됐는데, 개·고양이·염소 등 인간이 집과 농장에서 사육하는 동물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포유류가 매개체가 돼 면역을 형성하지 못한 인간에게 전파될 경우 대유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선 인간 전파 가능성을 낮게 보지만 경계해야 할 일이다.
미국은 최근 AI 유행으로 계란 품귀 현상이 생기면서 식탁 물가가 위협받자 한국을 비롯한 각국에 손을 벌렸다. AI 확산은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물가를 연쇄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 미국에서 사망자가 나오는 등 포유류를 매개로 한 인간 전염 가능성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가 매년 발생하다 보니 긴장감이 떨어지는 등 방역에 대한 인식이 느슨해 질 수 있다. 방역당국과 축산 종사자는 철저한 방역으로 위험 요인을 차단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