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광객으로 붐비는 단양구경시장 |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에 따르면, 단양군의 평균 생활인구는 31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등록인구 대비 9.8배에 달하는 수치로, 전국 평균인 5.2배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단양군은 2024년 2분기에 이어 충북도 내 1위 자리를 유지했으며, 전국 10위권 내에 연이어 이름을 올리는 성과를 보였다. 이는 관광객 유입과 지역 체류 인구 확대가 고루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와 등록 외국인을 포함하되, 여기에 더해 월 1회 이상 3시간 이상 해당 지역에 체류한 인구까지 포함한 수치다. 통신사, 카드사, 신용정보사 등 10개 기관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실제 생활권 중심의 인구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기존 등록인구 통계보다 더 실질적인 지표로 여겨진다.
![]() |
관광객들이 만천하스카이워크에서 풍광을 감상하고 있다. |
생활인구 증가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두드러진다. 카드 사용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소비 분석에서 체류인구에 의한 소비 비율은 전체의 66%에 달한다. 이는 전국 평균인 47.2%를 크게 넘는 수준이다. 외부 방문객의 활발한 소비 활동이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또한, 체류인구 가운데 타 시도 거주자 비율은 84.8%로, 전국 평균(70.0%)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중 경기도권에서 유입된 방문객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평균 체류시간은 12.1시간으로, 전국 평균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단양군 관계자는 "생활인구와 체류인구는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지역경제와 지역 소멸 위기 대응에 중요한 요소"라며, "정부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정책을 통해 지역 활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