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농업기술원 전경<제공=경남도> |
총 2563억 원 규모 이전사업 중 1893억 원을 경남개발공사가 대물변제 방식으로 부담하는 구조인데,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 부채 중점 관리 대상 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사업 추진 차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남도의회 장병국 위원은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경남개발공사가 부채 중점 관리 대상인데, 농기원 이전 같은 대형 사업을 수행할 능력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며 "자칫 부채 문제로 사업이 중단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경남개발공사 부채비율은 현재 200%를 넘어서면서 재무 안정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일반적으로 공기업의 부채비율은 낮을수록 재정 건전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경남개발공사는 이미 부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된 상황에서 1893억 원이라는 추가 부담을 안게 된 것이다.
특히 대물변제 방식으로 진행되는 사업 구조는 경남개발공사가 먼저 투자금을 집행한 후 추후 자산으로 상환받는 방식이어서 현금 흐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경남개발공사와 지속적인 대책 회의를 진행 중이며, 연차별 자금 집행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재원 확보 방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농업기술원 이전사업은 경남 농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로, 사업 지연은 농업 연구 및 기술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경남 농민들이 새로운 농업 기술을 적시에 지원받지 못할 가능성도 있어 농가 소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경남도의회는 농업기술원 이전사업의 재원 조달 방식을 면밀히 검토하고, 경남개발공사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장병국 위원은 경남개발공사의 재정 상황을 고려한 사업 추진 계획 재검토를 촉구했다.
경남도는 부채 중점 관리 기관인 경남개발공사의 재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농업기술원 이전사업의 안정적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재원 확보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사업 진행 과정에서 부채 문제로 인한 지연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재원 조달 방식의 변경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