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나희 씨가 집회 현장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다./사진=김주혜 기자 |
대전에서 열렸던 탄핵 찬성 집회에 대부분 참석했던 김 씨의 손에는 항상 캔버스와 붓이 들려 있었다. 그녀는 "천막 농성할 때부터 틈틈이 와서 그림을 그려왔다"고 전했다. 집회 현장을 기록하는 작업에 열정을 쏟아온 그녀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김 씨가 현장에서 그린 그림들은 판매 또는 기부로 이어졌지만, 모든 수익은 전액 기부한다고 밝혔다. 그녀의 예술 활동은 순수한 기록을 넘어 사회적 기여로 확장되고 있는 셈이다.
한의사와 화가라는 이질적인 조합에 관해 물었을 때, 김 씨는 "그림은 취미로 시작했다"며 "예전에 영화 설국열차를 봤는데, 고통의 장면들을 그림으로 남기는 노인 화가 캐릭터가 인상 깊었다"고 회상했다. 영화 속 한 인물이 그녀의 예술적 영감의 원천이 된 것이다.
이어 김 씨는 "나도 큰 행동은 못 해도, 현장에서 그림을 그리는 모습이 사람들에게 작은 메시지가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그림이라는 매체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그녀의 의도가 보였다.
![]() |
김나희 씨가 2024년 12월 3일의 한 장면을 그리고 있다./사진=김주혜 기자 |
현 상황에 대한 그녀의 생각을 물었을 때, 김 씨는 "현실은 너무나 험난하고, 다양한 입장들이 강하게 대립하고 있어 걱정이 많다"고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김 씨는 "지금 존재하는 법만 제대로 지켜도 훨씬 나은 세상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며 "노동법이든 환경법이든, 절차를 지키고 책임을 지는 사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법치주의의 회복을 통한 사회 발전을 바라는 그녀의 신념이 담긴 말이었다.
![]() |
김나희 씨가 그림을 그리고 있다./사진=김주혜 기자 |
김주혜 기자 nankjh7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