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자료사진. |
당장 조기대선 정국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헤게모니 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이며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 판결을 둘러싸고 보수진영의 반발도 예상되는 등 격랑이 불피해 보인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대통령 궐위 때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충청 정가도 역시 빠르게 대선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표가 일극체제를 형성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당내 최대 계파인 친명(친이재명)계가 금강벨트에서 빠르게 세 확장에 나설 전망이다.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부겸 전 총리 등 일부 비명(비이재명) 세력 역시 지지층을 규합하면서 움직일 공간을 노릴 전망이다.
이 가운데 김동연 지사는 충북 음성 출신으로 충청대망론 주자로 꼽힌다.
반면 국민의힘 충청 진영의 경우 민주당 이재명 대표 처럼 강력한 대권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당분간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대선 정국이 본격화 될 경우 김문수 노동부 장관, 안철수 의원(성남분당갑), 홍준표 대구시장, 오세훈 서울시장 등 잠룡들의 행보에 따라 이합집산에 나설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충청 보수진영에선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등이 당내 대선 경선에 참여할 지 주목된다.
여야는 조기대선 정국 초반부터 전통적 캐스팅 보터 지역인 충청권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강대 강으로 대치할 것이란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민주당의 경우 완전한 내란종식을 위해선 정권교체를 해야 하는 프레임을 앞세워 여권을 공격하면서 민심을 파고들 전망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여러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공격하면서 보수층 결집과 중도층 확장을 시도할 태세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