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제례의 초헌관은 최명서 영월군수가, 아헌관은 선주헌 영월군의회 의장이, 종헌관은 이상재 단종제례보존회장이 각각 맡는다.
영월 단종제례는 1516년 조선 중종 11년에 시작된 역사 깊은 제례로, 왕실의 명으로 국가를 위해 죽은 이들을 기리는 치제(致祭) 형식에서 유래했다. 이후 숙종 24년인 1698년 단종이 복위된 후부터는 매년 한식에 맞춰 장릉에서 제례가 거행되고 있다.
제향은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 중 하나인 영월 장릉(사적 제196호)의 정자각에서 올리며, 인근 장판옥에서는 단종을 위해 목숨을 바친 충신들을 위한 제향도 함께 진행된다. 충신각에는 충신위 32인, 조사위 186인, 환자군노 44인, 여인위 6인 등 총 268인의 위패가 봉안돼 있다.
최명서 군수는 "단종대왕과 그를 위해 희생한 충신들의 넋을 기리는 이번 제례가 앞으로도 체계적으로 보존되고 후세에 전승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영월=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