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겸 충남대 총장이 3월 19일 열린 '제4회 캠퍼스 톡톡톡 총장과의 대화'를 통해 구성원과 소통하는 모습. /충남대 제공 |
김 총장은 4월 1일 교직원과 재학생에 '취임 1주년을 맞이하여 구성원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 서한문을 통해 '강한 대학, 비전 2040' 실현을 약속했다. 앞서 3월 31일 열린 월요정책회의에서도 주요 보직자와 성과를 공유하고 과제를 논의했다.
김 총장은 2024년 4월 1일 총장으로 취임한 후 '2040 비전: 미래 사회를 선도할 강한 대학 THE STRONG CNU, MEGA UNIVERSITY' 를 선포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4 MVP' 전략을 제시했다. 4M(Mobile, Multifunctional, Mixed, Mega) 전략을 바탕으로 비전(Vision)을 실천(Practice)한다는 구상이다.
서한문에는 지난 1년간의 교육, 연구, 산학협력과 지역사회 협력 등 다양한 분야의 성과와 진행 중인 중요과제, 학교발전을 위해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을 조목조목 담았다.
교무·학사 혁신을 위해 학생의 전공 선택권 강화를 위해 전공자율선택제 본격 도입(창의융합대학 설립, 852명 선발), 전임교원 책임시수 선택제 도입, 교원 업적평가·교연비 지침 개선 등 학생과 교수 친화형 제도를 추진했다. 또 AI 혁신위원회 설립, AI 기반 지능형 학사지원시스템 등 인간 중심 AI 대전환을 모색했다.
연구·산학협력 강화로는 전 세계 상위 2% 연구자 총 48명 선정(거점대 2위), 1인당 교외연구비 거점대 1위, SCIE 논문 수 거점대 2위, 특허출원 거점대 3위, 기술이전 수입 거점대 2위 등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실험실창업 누적 68건, 펀드 운용 규모 191억 원 등 산학협력 고도화를 이뤘다.
캠퍼스 다변화와 지역사회 협력 분야 성과로는 내포캠퍼스 설립계획 교육부 인가, 보운캠퍼스 의대 신축건물·대덕캠퍼스 노후 기숙사 철거·신축 예산 확보 등 캠퍼스 조성, 대외협력본부 ESG센터 신설, 한-파키스탄 영양센터 준공, 타슈켄트 농업대학 원예·토양학과 실험실 개설 등을 꼽았다.
글로벌 전략 추진 분야에선 QS 세계대학 평가 11개 학문분야 선정 및 수의학 분야 세계 51~100위 첫 진입,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최고 등급, 한국어 연수생수 1110명 대폭 확대 등 국제 협력을 강화했다. 특히 윤근 여사의 40억 원 상당 건물 기부 등 취임 1년간 102억원의 발전기금을 모금하는 역대 최고의 성과를 냈다.
![]() |
충남대 '2040 비전 4M.V.P 전략' /충남대 제공 |
RISE 사업을 통한 5년간 500억 원 규모의 예산확보와 함께 공주대와 혁신기획서를 철저히 준비해 마지막 글로컬대학 사업을 반드시 수주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전공자율선택제 안정화 ▲AI 대전환 기반 구축 ▲출연(연)·산업체와의 벽허물기를 통한 개방형 교육연구 생태계 구축 ▲대학 공간의 효율적 활용·성과 중심 재정관리·대학행정의 고도화 ▲세종·신동·내포 특성화 캠퍼스 기반 구축 ▲학생 기숙사 BTL 방식 리모델링·재건축 ▲대학 정문 인근 궁동유적지 개발 계획 수립 및 유학생 수 확대 등을 제시했다.
김정겸 총장은 "어렵지만 해야 할 과제들을 미루지 않고 해나가겠다"라며 "대학이 직면한 도전과제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The Strong CNU, MEGA University'라는 충남대의 미래 비전을 구성원 여러분과 함께 실현해 나가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