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세종시 입점' 요원… 스타벅스는 지속 확장세

  • 정치/행정
  • 세종

맥도날드 '세종시 입점' 요원… 스타벅스는 지속 확장세

신도시에만 집중 전략, 14개 운영 중...오는 5월 나성동 예당 인근에 15호점 예고
맥도날드는 여전히 신중한 접근...시 관계자 "DT점 고집 않는 분위기" 언급
스벅에 맞서 읍면동 지역에 선전하는 카페 등장...노호와 세컨드세컨드 눈길

  • 승인 2025-04-02 11:33
  • 수정 2025-04-02 17:50
  • 신문게재 2025-04-03 3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스벅
오는 5월 신규 오픈 예정인 예술의전당 앞 나성동 스타벅스점. 사진=이희택 기자.
신세계가 운영 중인 스타벅스가 세종시 곳곳으로 진출 루트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 이슈로 부각됐으나 여러 이유가 맞물려 진출조차 못하고 있는 '맥도날드'와 대조를 이룬다.

세종시는 상가 공실률과 역외 소비율, 토지 매매가 상승률 등의 영역에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어 '창업 및 개점'이 쉽지 않은 조건에 놓여 있다.

중도일보 취재 결과 스타벅스는 신도시 수요를 집중 공략하고 있다. 가람동(S-2) 이마트부터 ▲2생활권 4곳 : 한솔동, 나성동 첫마을, 새롬동, 다정DT ▲1생활권 5곳 : 도담동, 어진동(세종청사), 어진R, 아름동, 종촌동 ▲3생활권 3곳 : 소담동, 보람동, 대평동 금강DT ▲4생활권 1곳 : 반곡동까지 모두 14곳에 이른다.

여기에 오는 5월 나성동 세종예술의전당과 나성1교 앞쪽에 또 하나의 스타벅스 매장이 가세한다. 읍면지역에는 단 한 곳도 진출하지 않은 점이 눈길을 끈다.



스타벅스의 이 같은 신도시 공략은 음식점 방문 수치로 볼 때, 어느 정도 주효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관광공사의 관광데이터랩상 네비게이션(티맵) 방문 수치를 확인해보니,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간 스타벅스 다정 DT점(드라이브 스루)이 음식점 영역에서 산장가든(11만 2175회)에 이어 2위(7만 5637회)에 올랐다.

다음 순위에는 부강옥(7만 5573회)이 있었고, 어진동 테라로사(5만 5371회)와 메타45(5만 245회)가 뒤를 이었다. 메타45는 내부 사정으로 지난해부터 문을 닫은 상태다. 스타벅스는 7위 금강 DT점(3만 9116회)과 16위 소담점(2만 7844회), 27위 보람점(2만 2120회), 31위 아름점(2만 1018회), 35위 어진R점(2만 362회), 39위 첫마을점(1만 8610회) 등이 대거 포진했다.

그 사이에서 △13위 나성동 플레져(2만 9368회) △19위 연서면 에브리선데이 본점(2만 3951회) △24위 나성동 아우어베이커리(2만 3279회) △고운동 헤이믈(2만 2406회) △금남면 이도커피 3호점(2만 2020회) △40위 연동면 빈스텔라(1만 8555회) △고운동 그리너리(1만 6836회) △금남면 소소루(1만 6658회) △49위 써밋뮤(폐업, 1만 6546회)가 파고 들었다.

맥도날드가 눈여겨볼 부분은 버거킹 충남대병원 DT점(2만 1651회)과 행복새롬 DT점(2만 1046회)이 각각 29위와 30위에 오른 점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맥도날드는 지난해부터 세종시의 대응과 시의회의 공식 요구 등에 따라 적극적인 진출 루트를 찾고 있다. DT점을 고집하진 않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관광데이터랩
올해 1~3월 티맵 네비게이션 기준으로 세종시에서 가장 많이 찾은 음식업종 순위. 사진=한국관광공사 자료 갈무리.
2025년 음식업 업종의 판도 변화도 관심 있게 지켜볼 대목이다.

올해 1~3월 기준으론 부강옥(7244회)과 산장가든(6981회)이 나란히 1~2위에 올랐고, 금강 DT점이 금강 조망과 수용 규모 등에 힘입어 3위(6647회)로 올라섰다.

1월 오픈한 부강면 카페 '노호'의 기세도 무서웠는데, 5237회로 4위로 급부상했다. 5위에는 스벅 다정DT점(5182회), 9위는 어진동 테라로사(3144회), 17위에는 역시나 새로 오픈한 전동면 세컨드세컨드(2234회)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이어 전체 음식업종 50위권에는 이도커피 3호점과 스타벅스 아름점, 소담점, 장군면 그리너리, 연동면 빈스텔라, 금남면 시선293, 고운동 헤이믈, 투썸플레이스 고운힐데스하임점, 반곡동 오투커피, 투썸 대평펜트빌점, 스벅 어진R점 등이 뒤를 쫓았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고교 당일 급식파업에 학생 단축수업 '파장'
  2.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3.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4.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5.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1.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2.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3.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4. 세종대왕 포토존, 세종시의 정체성을 담다
  5.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헤드라인 뉴스


탄핵정국 4·2 재보궐 충청 민주 2승 국힘 1승

탄핵정국 4·2 재보궐 충청 민주 2승 국힘 1승

탄핵정국 민심을 가늠할 충청권 4·2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2승 국민의힘이 1승을 각각 나눠가졌다. 충청권은 전통적으로 전국민심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지역으로 이번 선거 결과에 정치권이 주목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아산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오세현 후보가 득표율 57,61%(6만5912표)를 득표하며 당선됐다. 대전시의원(유성2) 선거에서 민주당 방진영 후보가 당선됐다. 방 후보는 47.17%(8000표)를 득표했다. 국민의힘 강형석 후보는 40.37%(6847표), 조국혁신당 문수연 후보는 12.44%(2110표..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눈덩이 가계 빚' 1인당 가계 빚 9600만 원 육박

국내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약 9500여 만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40대 차주의 평균 대출 잔액은 1억 1073만 원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53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12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1인당 대출 잔액은 지난 2023년 2분기 말(9332만 원) 이후 6분기 연속 증가했다. 1년 전인 2..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는 어디?...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

  •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앞 ‘파면VS복귀’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