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업계획총괄도<제공=경남도> |
첫 시범사업 대상으로는 김해시 나전농공단지가 선정돼 총 10억5000만 원 규모 문화·편의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된다.
정부의 기존 농공단지 재생사업은 착공 후 20년이 지난 곳만 지원 가능해, 10~20년 사이 준공된 단지들은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이에 경남도는 지원기준을 착공 10년으로 낮춘 '문화가 있는 행복산단 조성사업'을 새롭게 도입해, 정책의 공백을 메우겠다는 전략이다.
이번에 선정된 나전농공단지는 1994년 착공, 1995년 준공된 김해시 내 가장 오래된 농공단지다.
현재 34개 기업, 587명 근로자가 입주해 있으나, 편의·문화시설 부족과 낙후된 근무환경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김해시는 입주기업협의체와 함께 '행복동행협의체'를 구성해 근로자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사업계획을 마련했다.
사업에는 도비와 시비 각 5억 원, 기업 자부담 5000만 원이 투입되며, 관리사무소 리모델링과 북카페, 교육장, 벽화길, 소공원 조성 등이 포함됐다.
특히 김해시의 '찾아가는 배달강좌'와 연계한 문화 프로그램 운영이 포함돼, 단지 내에서 근로자들이 여가와 교육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이번 시범사업의 성과를 분석해, 2026년부터 도내 더 많은 농공단지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정부 사업 기준에 들지 못했던 농공단지들을 도가 직접 지원해, 근로자와 기업 모두 만족하는 문화형 산업단지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회성 정비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중장기적 운영 모델과 기업 참여 유도방안, 지속 가능한 예산 편성이 과제로 남는다.
경남도 시범사업이 전국 단위 정책 보완의 모델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