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국본부장회의<제공=경남도> |
그러나 이번 사태는 동시에 야간 진화 장비 부족, 실화 책임 추궁, 매뉴얼 부재 등 재난 대응 체계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지난 3월 31일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도청 실국 본부장 회의를 소집하고, 산불 진화 이후 행정적 복구와 제도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박 지사는 "도민의 일상 회복이 최우선"이라며, "특히 고령자가 많은 피해 주민들이 임시거처에 머무는 만큼,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조속히 이주하도록 행정 지원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이번 산불로 순직한 소방대원 4명에 대해서도 "장례는 끝났지만, 유가족에 대한 보상과 예우는 도가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는 대응 과정에서도 여러 한계를 드러냈다.
야간 진화 장비의 부족과 정보 수집 한계를 지적한 박 지사는 "드론, 열화상 카메라 등 첨단 장비를 도 차원에서 개발하거나 적극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경남도는 헬기 7대를 운영 중이지만, 도는 추가 임차와 시군 단위 장비 확충을 검토 중이다.
초기 혼선과 인력 지휘 체계의 문제점도 지적됐다.
박 지사는 "각 기관이 시간이 지나면서 체계적으로 대응했지만, 초동 대응단계부터 일관된 매뉴얼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정비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진화 인력의 장비와 교육, 처우 개선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실화자에 대한 책임 추궁과 제도적 대책 마련도 언급됐다.
박 지사는 "산불은 한순간의 실수가 막대한 피해로 이어진다"며, 도 차원의 관련 조례 제정과 함께 중앙정부 건의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4월 행락철과 청명·한식을 앞두고 산불 예방 대응 체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봄철 강풍과 가뭄 등 기상 요인까지 겹친 만큼, 사전 경계 태세가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경남도는 피해지역 복구와 함께, 이번 산불을 계기로 장비 확충, 제도 보완, 대응 매뉴얼 정비를 병행할 계획이다.
실효성 있는 재난 대응 체계로 전환할 수 있을지가 향후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