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항제물가안정캠페인사진<제공=경남도> |
관광객 신뢰 하락과 지역 이미지 실추를 우려한 경남도는 3월부터 시·군과 함께 가격 질서 확립을 위한 집중 점검을 시작했다.
도는 축제 규모에 따라 물가책임관을 지정하고, 대형 축제에는 고위 간부가 직접 물가 관리를 맡는 방식으로 체계적인 감시망을 구축했다.
100만 명 이상 관람객이 찾는 축제에는 경제부지사가, 50만 명 이상 축제는 경제통상국장이 직접 책임을 진다.
진해군항제를 시작으로 바가지요금 근절 캠페인과 현장 단속도 본격화됐다.
1일 중원로터리 일대에서 열린 캠페인에는 경남도, 창원시, 소상공인연합회 등 민관 합동으로 참여해 관광객에게 바가지요금 신고센터를 안내하고, 상인들에게는 가격 준수를 당부했다.
점검은 축제 기간 동안 상시 운영되는 민관합동점검반을 통해 이뤄진다.
먹거리, 서비스, 상거래, 질서 등 4개 분야에서 9개 유형의 위반 행위를 집중 단속하며, 적발 시에는 '3진 아웃제'를 적용해 영업 정지 등의 강력 조치가 뒤따른다.
경남도는 상인 대상 사전 교육과 홍보 캠페인을 병행해 자발적인 참여도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불편 신고는 현장상황실과 '경남축제다모아' 플랫폼을 통해 온·오프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관행적 바가지'가 근절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일부 축제에서는 단속 후에도 가격 담합 의혹과 관광객 불만이 이어졌으며, 처벌이 솜방망이에 그쳤다는 비판이 있었다.
조현준 경남도 경제통상국장은 "도민과 관광객이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축제 환경을 만들겠다"며 "상인들도 일시적 이익보다 지역경제 상생을 우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향후 경남도의 대응이 실질적 가격 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현장 체감과 제도 실효성이 핵심 과제로 남았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