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오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핵융합연) 대전 본원에서 '민관협력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 포럼'을 개최하고 글로벌 핵융합에너지 확보 경쟁에 앞서기 위한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을 비롯해 핵융합연 윤시우 부원장, KAIST 최원호 교수 등 공공영역 전문가와 현대건설, 모비스, 한국전력기술 등 민간 분야 전문가 등 50명가량이 참석했다.
포럼에선 주요 핵융합 국가들이 민간기업과 협력해 2030~2040년대로 전력실증을 앞당기는 동향 속에서 한국의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현재 한국 등 7개 국가는 공동 건설 중인 국제핵융합로(ITER) 프로젝트를 통해 설계와 제작, 운영 기술 등을 획득하는 전략과 함께 자체 핵융합로 소형화 등 혁신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KAIST 최원호 교수는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를 위한 혁신형 핵융합로의 개념과 도입 필요성'을 주제로 고온초전도체·AI 등 첨단기술을 도입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핵융합에너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윤시우 핵융합연 부원장은 '혁신형 핵융합로 도입에 따른 주요 파라미터 제안과 단계별 추진 전략' 발표를 통해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를 제안했다. 기존 토카막 방식의 핵융합장치보다 작지만 성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윤 부원장은 또 이를 위해선 공공과 민간의 협력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우리나라는 K-STAR(초전도 핵융합 연구장치) 운영 등을 통해 세계적인 핵융합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제는 핵융합에너지 상용화에 대비한 도전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혁신형 핵융합로 개발을 촉진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핵융합 실증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