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기자간담회에서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뒷줄 가운데)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소상공인 사업장 종사자임에도 소상공인 전문 은행은 없다"며 "소상공인에게 구휼이 아닌 금융을 제공해, 소상공인이 성공하고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 은행을 설립하겠다"고 말했다.
컨소시엄 지분 비율 33.5%로 대주주 지위를 가진 KCD와 함께 하나은행(10%), LG CNS(10%)이 2대 주주로 참여한다. 이와 함께 우리은행(8%), 아이티센(6.2%), 흥국생명(6%), 농협은행(5%), 부산은행(4%), 유진투자증권(4%), OK저축은행(4%), 흥국화재(2%), 티씨스(2%), 일진(1.7%), 메가존클라우드 (1.7%) 등이 주주로 함께한다.
소호은행의 초기 자본금은 3000억 원이며, 흑자 전환 시점의 목표는 영업 개시 후 4년 이내다. 기존 인터넷전문은행의 초기 자본금인 카카오뱅크(3000억 원), 케이뱅크(2500억 원), 토스뱅크(2500억 원) 등과 비슷하거나 높은 수준이다.
소호은행은 이날 소상공인을 위한 두 가지 혁신 금융상품으로 ▲공급망 금융(나중 결제·오늘 정산) ▲맞춤형 지원금·대출 연결을 소개했다.
두 상품은 소상공인 간 거래에서 발생하는 자금 흐름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한 공급망 금융이다. 나중 결제는 사업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때 은행이 먼저 돈을 내주고 소상공인으로부터 돈을 받는 방식이다. 오늘 정산은 거래처로부터 받을 돈을 은행이 미리 내주고 나중에 거래처로부터 받는 방식이다.
금융위원회는 민간 외부평가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6월 중 제4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예비 인가를 받은 사업자는 금융위에 인적·물적 요건을 갖춰 본인가를 신청할 수 있다. 본인가를 받은 후에는 6개월 이내에 영업을 개시할 수 있다.
대전시와 KCD의 업무협약으로, 소호은행이 성공적으로 출범한다면 향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이 기대된다. 이를 두고 지역 경제계에서도 기대감을 드러내는 분위기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소호은행이 탄생한다면 지방은행의 역할을 오롯이 수행하는 건 어렵겠지만, 지역의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창업·경영 안정에 도움을 줄 수는 있을 것"이라며 "긍정적인 상생효과가 이뤄지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