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탄핵 정국 동안 보수와 진보 두 갈래로 갈려 강대 강으로 대치해온 점을 감안할 때 탄핵심판이 어떠한 결론이 나도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충청권은 12·3 비상계엄을 촉발해 윤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서 통과된 지난해 12월 14일 이후부터 극한대립을 이어왔다.
하루가 멀다하고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탄핵 찬성 측과 윤 대통령의 즉각 직무 복귀를 바라는 탄핵 반대 집회가 동시에 열리면서 민심이 두 쪽으로 쪼개졌다.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 선고일을 4일로 발표를 전후해서도 양 진영간 대립은 탄핵선고일이 발표된 1일 당일에도 대립은 이어졌다
민주당 이연희 의원(청주흥덕)은 페이스북에 "4일 11시.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정의로운 판결이 헌법재판소에 울려 퍼지길 기대한다"며 "민주주의 봄이 코앞까지 다가왔다. 국민의 피와 땀으로 이룩한 민주주의 가치를 수호하고 여러분께 평온한 일상을 드릴 수 있도록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썼다.
국민의힘 성일종 의원(서산태안)은 전날 페이스북에 "윤 대통령 탄핵 시도는 헌법과 법치를 정면으로 무시한 졸속 탄핵"이라며 "억지와 무리로 점철된 대통령 탄핵 시도에 각하 외에 다른 결론을 생각할 수 조차 없다. 헌재는 정치적 당략이나 외압에 휘둘리지 말고 법치와 나라를 위한 판단만을 내려달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극과 극으로 여론이 양분 된 상황에선 4일 헌재가 윤 탠핵 소추안을 인용하거나 각하 또는 기각 등 어떤 결론을 내려도 혼란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일각에선 헌재 선고에 불만을 품은 일부 극렬 지지자들 사이에서 그릇된 판단으로 유혈사태까지 빚어지지 않느냐는 우려도 배제하진 않고 있다.
이럴 경우 정국은 지금까지 탄핵정국을 뛰어넘어 겉잡을 수 없는 혼란 속으로 빠져들게 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자연스레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등 행정수도 완성이나 대전 충남 혁신도시 공공기관 제2차 이전 등 충청의 굵직한 현안 관철에도 악영향이 불을 보듯 뻔하다.
헌재 탄핵심판 결과에 대승적으로 승복하고 진영 간 갈등 봉합을 통해 미래발전 동력으로 승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이는 대목이다.
배재대 최호택 교수는 "4일 선고일 전까지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탄핵심판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아야 사회적 혼란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탄핵심판 선고이후에는 국민들도 화합과 통합을 통해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